탑가기

[바다가 들려주는 인천이야기·20]바다와 함께한 인천의 역사

윤설아 윤설아 기자 발행일 2018-05-31 제15면

격랑의 세월 넘어온 해양도시, 통일시대로 나아가다


삼국시대부터 국제항구 역할 하다 조선 쇄국정책 탓 작은 어촌마을로 축소
1883년 개항이후 쏟아진 신문물… 급속한 변화로 인한 혼란·박탈감 등 겪어
일제 수탈 목적 항만시설 근대화… 산업화 접어들면서 '해양 물류거점' 성장
'남북관계 훈풍' 서해평화협력지대 중추 지역 큰그림 '가장 성장할 도시' 전망


20180530010023819001155110
인천의 역사에는 '최초'가 많다.

 

유독 '바다'와 관련한 게 많다. 등대, 근대식 세관, 군함을 비롯해 지역경제 견인의 한 축이 된 컨테이너 부두까지.

여기엔 외세의 모진 수탈, 이질적 문물 유입으로 인한 혼란, 갯벌 매립에 따른 환경 파괴 등 아픔도 따랐다.

최근에는 남북 관계 훈풍으로 서해평화수역을 낀 도시로도 주목받고 있는 곳이 바로 인천이다. 15년 만에 인천에서 열리는 제23회 '바다의 날'(5월31일) 기념식을 맞아 '해양도시' 인천의 바다 이야기를 전한다.



백제 378년(근초고왕27) 중국과의 교역 때 출발 나루터가 있던 연수구 옥련동 터.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8호.

인천 연수구 옥련동 '능허대공원'. 이 공원에서 옥련사거리 방면으로 조금만 걸으면 인천시 기념물 제8호 '능허대 터'가 나온다.

378년 삼국시대 고구려에 육로가 막힌 백제 근초고왕이 중국과 교역을 할 때 사신들이 출발한 '나루터'다.

근초고왕은 인천~덕적도~중국 산둥반도에 이르는 '등주항로'라는 해상루트를 이용했다. 건널 능(凌), 빌 허(虛)자를 쓴 능허대의 어원은 '만경창파를 하늘로 날아오르듯 항해한다'는 의미다.

이렇게 시작한 교역 활동은 고려시대까지 이어져 거란, 여진, 일본, 아라비아 상인들도 인천을 왕래하기 시작했다. 유럽 각국에 한국 국명이 꼬레아(Corea)로 알려지게 된 게 바로 이 시기다.

고려시대 개경의 관문 역할을 하며 발전했던 인천은 조선이 개국하자 침체 상태로 빠져들었다. 조선왕조의 '쇄국정책'으로 서해 해상교통은 전면 금지됐고 귀화하지 않은 외국인들은 모두 추방되기까지 했다.

국제 무역항의 기능을 상실한 인천은 이후 수백 여년 동안 한적한 어촌 도시로 여겨졌다.

2018053001002381900115513
조선 16대 인조대왕 14년 임경업 장군에 의해 연평도에서 조기를 처음 발견한 이후 해방 전후부터 1968년까지 연평도는 황금의 조기파시 어장을 이뤘다.

'세종실록지리지'(1454)를 보면 인천 바다에서는 민어, 참치, 조기, 가물치, 오징어 등 다양한 어종이 올라왔다. 지금과 다른 것은 조기와 민어를 쉽게 볼 수 없게 된 것.

연평도는 조선 초기부터 1960년대까지 '조기'가 많이 잡혔다. 사업에서 빚을 진 선주들이 연평도에서 조기를 잡아 빚을 갚는다고 해 '연평바다로 돈 실러 가세'라는 뱃노래가 있었다고 한다.

1920~30년대 굴업도와 덕적도는 민어가 많이 잡혀 '민어 파시'로 명성이 높았다. 지금 이 물고기들은 수온 변화와 남획, 매립 등의 영향으로 인천 바다에서는 보기 힘들게 됐다.

한적한 어촌 도시는 1883년 개항으로 크게 변모한다.

'나는 이 항구에 한 벗도 한 친척도 불룩한 지갑도 호적도 없는 거북이와 같이 징글한 한 이방인이다.' <이방인>

'부끄럼 많은 보석장사 아가씨 어둠 속에 숨어서야 루비 싸파이어 에메랄드…… 그의 보석 바구니를 살그머니 뒤집니다.' <밤 항구>

2018053001002381900115514
1883년 강화도 조약에 따라 문호를 연 개항초기 제물포항의 모습.

시인 김기림이 쓴 '길에서 - 제물포 풍경'(1939년)에서는 외지인들이 몰려와 어촌 지역의 정겨움은 사라지고 유혹, 사치, 풍요로움, 가난, 애환이 얽힌 도시와 근대적 문물의 상징인 철도와 인천역 대합실의 모습까지 엿볼 수 있다.

현재 우리에게 친숙한 중구 자유공원, 인천중동우체국(옛 인천우체국), 답동성당, 차이나타운 등이 모두 개항기에 조성됐다.

일본의 강압으로 개항을 맞은 인천은 신문물의 '실험지'였다.

해관(세관), 감리서(개항장 관리 관청), 중·일 영사관과 조계지(외국인 치외법권 구역)가 들어서면서 이질적 사람과 문물이 급속하게 유입됐다.

지금 인천시민의 친수공간이자 대표 관광지인 '월미도' 역시 그중 하나였다.

일본은 1918년 월미도를 풍치지구로 지정하고 1920년 해수욕장을 개장한 데 이어 수족관, 체육시설, 조탕(목욕탕) 등을 조성해 최대 규모의 유원지를 형성했다.

그러나 이는 일본인과 일부 조선 상류층의 것이었을 뿐 토착민에게는 상대적 박탈감만 줬다.

'수탈 극대화'가 최대 관심사였던 일본과 상인들의 움직임은 자연스레 인천 항만시설 근대화로 이어졌다.

인천항은 조수 간만의 차가 최고 10m에 달하는 자연적 취약점을 갖고 있어 갑문 시설이 필수적이었다.

이에 1911년 갑문식 선거 설비 공사를 시작해 1918년 준공했다.

2018053001002381900115515
1918년 완성된 인천항갑문으로 배 1척이 들어오고 있다.

인천항만공사가 편찬한 '인천항사'를 보면 당시 이중 갑문식 선거로 선박이 해수의 높이와 상관없이 출입하게 되면서 2천t급 기선 5척이 동시에 계류할 수 있었는데 이는 동양에서도 흔히 볼 수 없는 시설이었다고 한다.

이후 4천㎡의 창고 건축과 같은 축항시설 확장과 각종 시설 도입 등으로 1939년 인천항 총 무역액은 1910년 대비 40배 증가했다.

해방 직후인 1946년엔 한국 수입의 96%가 인천항에서 이뤄졌을 정도로 교역이 활발했다.

그러나 1950년 인천상륙작전으로 항만시설 대부분이 파괴되면서 최대 교역항 역할을 부산항에 뺏기는 수모를 겪었다. 1955년이 돼서야 복구된 인천항은 산업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교역시장 확대, 운송 수단 다변화 등으로 서해 물류 거점이 됐다.

2018053001002381900115516
월미도 해수욕장을 가득 메운 사람들과 뒤편 조탕 건물.

1974년에는 한진, 대한통운의 민간 자본을 유치해 우리나라 최초 컨테이너 전용부두를 인천항에 개장했다.

육로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기 인천 바다는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1956년 발간한 '경기도지'는 인천항을 기점으로 하는 항로가 당진선, 목포선을 비롯해 총 12개 노선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 여객선은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건 물론,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이었다.

지금은 비록 섬 지역을 잇는 14개 항로만 있지만, 지난해 인천 연안여객선을 이용한 사람은 147만 1천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인천 바다와 섬이 '관광지'로 모습을 바꿔가면서다.

2018053001002381900115517
1990년 9월 한중 최초로 개설된 카페리 항로인 인천∼웨이하이 항로를 운항했던 '골든브릿지호'의 모습.

1990년에는 인천~웨이하이를 잇는 카페리 운항을 시작으로 한중 최초의 카페리 시대까지 열렸다.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인천~중국 카페리 항로는 10개다. 2016년 여객 수가 92만여 명에 달하는 등 '해상교통의 중심지' 명성을 잇고 있다.

인천의 간척사업 역시 빼놓을 수 없는 바다 이야기다.

고려시대 강화도 제포·와포에서 전시 군량미 확보를 위해 시작한 간척은 1980~2000년대 인천경제자유구역(송도·청라·영종) 등 신도시 조성을 위한 간척사업까지 이어지며 인천의 해안선을 크게 바꿔 놓았다.

인천시 역사자료관이 편찬한 '인천의 갯벌과 간척'을 보면 인천의 간척지는 주로 주택·항만·발전·공업용지로 쓰였다. 서구, 연수구, 중구는 도시용지 중 50% 이상이 간척으로 새롭게 건설된 땅이라고 한다.

2018053001002381900115518
2011년 송도 11공구 매립 현장에서 그물을 펴고 있는 어민과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있는 저어새의 모습.

들쑥날쑥한 해안선은 직선이 되고 인천의 토지 면적은 넓어졌지만 김포갯벌, 송도갯벌, 남동갯벌이 대부분 사라지면서 멸종 위기 물새 서식지 훼손, 습지 생물 멸종, 갯벌 파괴 등의 환경문제가 생겼다.

인천 바다를 둘러싼 이야기는 무궁무진하다. 철책과 항만시설에 가로막혀 친수 공간을 누리지 못한 인천시민을 위해 철책 제거, 내항 8부두 개방, 경인아라뱃길·도서 지역 마리나 해양레저산업 활성화 등의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인천은 남북 관계 훈풍에 발맞춰 추진되는 서해평화협력지대의 중추 도시로의 도약도 준비하고 있다.

2018053001002381900115519
2015년 6월 송도국제도시 서남단에 개장한 인천 신항. 인천항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005년 100만TEU, 2013년 200만TEU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 300만TEU를 달성했다.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은 "인천은 환황해권 경제벨트의 핵심 도시가 되며, 통일 후 가장 성장하는 도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해권 물류 교통의 중심에서 철책을 넘어 평화의 상징이 되는 인천 바다의 이야기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글/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그래픽/성옥희기자 okie@kyeongin.com 사진/경인일보DB·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옹진군·화도진도서관·인천항만공사·인천시·위동항운 제공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