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이슈&스토리]서해 5도 백령·대청·소청도 국가지질공원 10곳 인증

윤설아 윤설아 기자 발행일 2019-07-12 제13면

자연이 빚어 놓은 절경… 분쟁의 바다를 평화로 물들이다

농여해변과 미아해변(농여해변 나이테바위)111
대청도 농여해변 나이테 바위. /인천시 제공

병풍처럼 펼쳐진 기암절벽 두무진
나이테 바위로 유명한 농여해변
화장한 것 같은 분바위 등

백악기 구조 등 독특한 풍경 자아내
市, 유네스코 인증도 추진
北 내륙 연계 남북 공동과제로


2019071201001005000047019
백령도 두무진과 대청도 해안사구 등 인천 서해 최북단 섬 지역의 지질유산이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받았다.

국가지질공원은 지질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 환경부 장관이 인증한 공원이다.



분쟁의 바다에서 평화의 전진기지로 탈바꿈하고 있는 서해 5도가 '평화 관광 1번지'로 도약할 날이 멀지 않았다.

이번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받은 지질명소는 백령도 5곳(두무진·용트림바위·진촌현무암·콩돌해안·사곶해변),

대청도 4곳(농여해변과 미아해변·서풍받이·옥죽동 해안사구·검은낭), 소청도 1곳(분바위와 월띠)이다.

이 지역은 10억~11억년 전 중기 원생대와 6천만~7천만년 전의 백악기 지질구조가 결합해 독특한 풍경을 자아낸다.

침식 절벽과 대규모 해안사구가 발달해 아름다운 경관이 관광 포인트로, 지구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운 풍경을 동시에 볼 수 있다.

인천시는 이번 국가지질공원 인증을 계기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도 장기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백령도와 대청도는 지질적으로 북한의 황해도 내륙과도 연계성이 커 남북 공동 과제로도 주목받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질공원의 높은 학술적 가치와 수려한 경관을 이용해 지질과 생태, 환경, 문화, 역사 등이

어우러진 관광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며 "서해5도의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두무진
백령도 두무진.

# 백령도

■ 두무진(명승 제8호)


두무진은 예로부터 '신이 빚어 놓은 절경'이라는 찬사를 받을 정도로 매력적인 절경을 갖고 있는 백령도의 대표 볼거리 중 하나다.

기암절벽이 해안을 따라 4㎞에 걸쳐 병풍처럼 서 있는 형상이 특징이다.

각양각색의 기암절벽은 얕은 바다에서 퇴적돼 만들어진 사암이 지각 내부에서 고온에 노출돼 단단하게 굳으며 만들어졌다.

물결무늬, 사층리 등 원래의 퇴적 구조를 잘 간직하고 있어 10억 년 전 원생대의 퇴적 환경까지 추정할 수 있는 지질 명소다. 경관이 우수해 명승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용틀임 바위(출처-옹진군)
백령도 용트림바위.

■ 용트림바위(천연기념물 507호)

용트림바위는 10억 년 전에 생성된 퇴적층이 파도와 바람에 떨어져 나간 모습이 마치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해 이름 붙었다.

용이 뒤틀려 올라가는 형상이라 '용틀임바위'로도 알려졌다.

10억 년 전에 생성된 퇴적층이 풍화 침식 작용을 반복하면서 해식 기둥이 형성됐는데, 차별침식을 받아 뒤틀린 형상이 특징이다.

바위 옆으로는 대규모 습곡을 단층이 가로지르고 있는 기이한 모습도 볼 수 있다.

용트림바위는 천연기념물 507호로 지정됐다.

■ 진촌리 현무암(천연기념물 393호)


진촌리 현무암 지대는 지구의 맨틀을 구성하는 암석인 '감람암'을 볼 수 있는 독특한 곳이다.

이 암석을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곳은 경기도, 강원도, 울릉도, 제주도 등 일부에 국한돼 있다.

이곳에 형성된 감람암은 지각 하부가 녹아 만들어진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상승하면서 지구의 아주 깊은 곳에서 나온 용암층이다.

감람암은 아직까지 직접 시료 채취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곳에서는 지구 내부 구조의 성분·특성 등을 연구할 수 있어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

독특한 돌의 형상이 지구의 신비함까지 느끼게 해준다.

콩돌해안
백령도 콩돌해안.

■ 콩돌해안(천연기념물 392호)

백령도 남포리의 콩돌해안에는 동글동글한 자갈들을 볼 수 있다.

파도가 밀려왔다 나갈 때 동그란 돌들이 서로 부딪혀 '자갈 자갈' 하며 소리가 나는 것이 매력적인 해안이다.

이 해안에 분포하는 암석은 규암으로, 원래 바위에서 떨어져 나온 후 바닷가에서 파도와 바람에 의해 굴러다니며 침식돼 둥근 콩 모양으로 변했다.

콩돌 색깔 역시 흰색, 회색, 갈색, 적갈색 등 형형색색을 이뤄 푸른 바다와 함께 매우 아름답고 특이한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는 콩돌은 반출이 금지돼 있다.

사곶해변
백령도 사곶해변.

■ 사곶해변(천연기념물 391호)

백령면 진촌리의 사곶해변은 언뜻 보면 평범한 모래로 이뤄진 것처럼 보이나 해변 모래층 위에 규암 가루가 두텁게 쌓여 이뤄진 곳이다.

길이 2km에 썰물 때면 폭이 200m에 달한다.

매우 곱고 단단하게 분포돼 있어 자동차가 다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때는 천연비행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는 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꼽힌다.

이탈리아 나폴리 해변과 함께 세계에 단 두 곳만 있는 특수 지형으로 서해에서 '백사장'을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 대청도

■ 농여해변과 미아해변

농여해변을 걷다 보면 해변가에 우뚝 선 바위 하나를 볼 수 있다.

거대한 고목 같아 '고목바위', 돌에 겹겹이 쌓인 지층들이 마치 나무의 '나이테'처럼 보여 '나이테 바위'라고도 불릴 정도로 매우 특이한 지층 구조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지층의 다양한 색과 곡선이 독특한 모습을 자아낸다. 습곡작용을 받은 후 구부러진 부분이 풍화돼 사라지고, 경사가 급한 부분만 남아 오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농여해변과 이어진 미아해변에서는 10억 년 전 물결과 현재 물결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쌍 물결무늬'도 볼 수 있다.

현재 바닷물이 드나들면서 만든 물결 무늬가 새겨진 모래 위로 큰 바위가 있는데, 그 바위에 10억 년 전 바닷물이 드나들면서 만든 빨래판 같은 물결 무늬가 새겨져 있다.

두 물결 무늬를 동시에 보고 있노라면 지구의 신비로움을 새삼 느낄 수 있게 된다. 농여해변의 썰물 때 볼 수 있는 '풀등' 역시 대청도에서 볼 수 있는 매력적인 관광 포인트 중 하나다.


서풍받이
대청도 서풍받이.

■ 서풍받이

바다에 우뚝 선 서풍받이는 수 천 년 전부터 바위에 몰아친 파도와 바람이 만든 절경이다.

서풍받이는 고도가 약 100m에 이르는 규암 사면으로, 웅장한 수직절벽을 형성하고 있다.

파도와 서풍이 불어오는 서쪽 절벽에서는 식생이 자라지 못 하지만 동쪽의 사면에는 수많은 식물들이 자라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서풍받이 산책로는 이러한 절경을 한눈에 볼 수 있어 트레킹 장소로도 유명하다.


옥죽동 해안사구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

■ 옥죽동 해안사구


섬 한 가운데에 사막처럼 형성된 대청도 옥죽동 해안사구는 다른 나라에 온 것 같은 느낌마저 자아낸다.

사구 한 가운데 낙타 조형물을 설치해 놓은 것도 눈에 띈다.

해류를 타고 이동하는 모래들이 옥죽동 해안에서 밀려 올라온 후, 바람에 떠밀려 다시 해안사구를 형성한 모습이다.

모래가 날려 생활이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끼친다는 이유로 방풍림을 조성하기 전에는 축구장 60개 규모를 자랑하기도 했다.

국내에서 쉽게 보기 힘든 사구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어 연구자들도 많이 방문한다.

■ 검은낭

대청도 선진포구 해안 절벽을 따라서 난 지질트레일 코스에는 퇴적암층이 오랜 세월 휘고 겹쳐지며 형성돼 마치 미술작품 같은 형상을 띤 지층을 볼 수 있다.

이암 지층이 검은색을 띠는데 검은색 낭떠러지라는 뜻으로 '검은낭'이라 이름 붙었다. 푸른 해안 풍경 옆으로 난 다채로운 색의 지층이 매우 인상적이다.

분바위와 월띠
소청도 분바위와 월띠.

# 소청도

■ 분바위와 월띠(천연기념물 507호)


가까이에서 보면 '분(화장품)'을 칠한 것 같다고 해 이름 붙은 '분바위', 이 바위들이 해상에서 달밤에 바라보면 달빛이 반사된 긴 띠처럼 보인다 해 이름 붙은 '월띠'.

모두 소청도에서 볼 수 있는 매우 기이한 풍경이다.

분바위는 하얀색의 석회암이 높은 압력을 받아 대리암으로 변한 곳이다.

대리암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드문 암석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자아낸다.

이 바위가 줄지어 있는 모습 전체를 '월띠'라고 하는데, 밤에 보면 빛이 나 등대가 없던 시절 보름달만 떠도 밤 뱃길을 도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특히 이곳은 남한 최초의 생명체 흔적인 남조박테리아(스트로마톨라이트)의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도 유명하다. 7억~8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화석은 당시 수심과 환경, 지구 자전 속도까지 추정할 수 있는 지질학적 가치가 있다. 바위 인근에는 해양수산부지정보호대상해양생물인 새우말(잘피) 군락지도 볼 수 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