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행복한 아이가 행복한 어른이 된다]경기도 농어촌학교의 오늘과 내일·(3·끝)강원·전북의 정책은

공지영 공지영 기자 발행일 2020-03-16 제13면

특화된 교육 조례·부서… 도농 격차 좁힌다

2020031501000755000039521

#강원도

'작은학교…' 혁신·여건 개선 지원
도교육청 출연 복지재단 설립 주목

#전라북도

교육발전기본계획 매년 수립 시행
'어울림…' 공동 통학구·활동 방점

2020031501000755000039522







강원도와 전라북도는 경기도보다 농어촌학교 정책을 세심하게 펼치고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경기도에도 적지 않은 농어촌학교들이 존재하는 만큼 이들 지역의 정책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강원도와 전라북도는 '농어촌학교'에 특화된 조례 및 정책, 그리고 이를 전담하는 담당부서 및 협의체를 조직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는 교육복지사업, 작은학교 사업 등 기존 정책의 틀 안에서 농어촌 학교가 포함된 수준에 불과한 경기도와 차별되는 지점이다.

2013년부터 시작된 강원도교육청의 '작은학교 희망만들기 사업'은 강원도청과 교육청의 꾸준한 협의를 통해 예산을 확보하고 운영 중인 역점사업이다.

두 기관의 협력 아래 작은학교 희망만들기 사업은 도농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과정 혁신'과 농촌지역 학생과 학부모, 교원들의 교육여건을 개선하는 '행·재정적 지원'을 중점으로 추진된다.

이들 작은 학교는 '자율학교'로 지정돼 특성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도록 했고 작은학교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의 모델을 운영해오고 있다.

또 교사를 중심으로 작은학교들 간의 교류가 활발한데, 작은학교 전문가협의체를 구성해 정책평가 및 특색프로그램 지원 방향, 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지원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지역교육청 단위에선 학교별 컨설팅도 실시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에서 눈에 띄는 것은 '강원교육복지재단'이다. 도교육청 출연기관인 재단은 모든 학생의 공평한 교육기회와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래서 교육감 등 도교육청 정책 기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변수를 최소화하고, 이 재단을 통해 농어촌학교와 작은학교 지원만큼은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목적에서 설립됐다.

전라북도 역시 2015년, '전라북도교육청 농어촌 교육발전 기본조례'를 제정해 매년 농어촌 교육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이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선 연초에 각 실과별 사업을 취합하고 기초자료를 조사한 뒤 '농어촌 교육'의 관점에서 기본계획을 통합·조정한다.

특히 교육청과 학부모, 도청, 관련단체, 교원 등이 모여 구성된 농어촌교육발전 지역협의회가 매해 기본계획을 심의하고 있다.

전라북도는 '어울림학교' 사업을 시행한다. 공동통학구 및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방점이 찍혔다.

주로 4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작은학교 협력형은 작은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마을학교 협력형은 인근 마을과 지역이 학교 교육활동에 연계 및 참여하는 형태다.

테마형은 학교가 교육과정 재구성의 테마를 정하고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마지막으로 공동통학구형은 인근에 큰 학교가 있는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큰 학교와 소규모 학교를 공동 통학구역으로 설정해 작은학교로 학생을 유입하는 정책이다.

결국 두 지역 모두 정책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농어촌학교 정책의 목적성은 뚜렷하다.

거주지에 상관없이 누구나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교육권을 보장하는 것. 그래서 농어촌 학교 정책의 출발 점은 그 지역 학생에게 최선의 교육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려는 태도에서부터 시작한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아이클릭아트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