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 들어서는 '과천 정부청사' 일대 4일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위해 용적률 상향, 유휴부지 개발 등을 골자로 하는 수도권 주택공급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유휴부지 개발계획에 포함된 과천 정부청사 일대.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
160~190%에서 지역별 1~10%p↑
유휴부지 개발등 2만4천가구 공급
서울도 10만가구… 2기 반발 우려규제로만 과열된 부동산을 억제하려던 정부가 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등 주택 공급량을 늘려 집값을 안정화하는 '8·4 부동산 대책'을 꺼내 들었다.
다만 저밀도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특화 도시로 만들려 했던 3기 신도시 건설 계획이 틀어지게 된 데 이어 서울에 10만여가구가 신규 공급되면서 3기 신도시 흥행에 적신호가 켜졌다.
4일 국토교통부는 '서울권역 등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통해 3기 신도시에 계획된 160~190%의 용적률을 지역별로 1~10%포인트 상향키로 했다.
이에 남양주 왕숙(6만6천가구), 하남 교산(3만2천가구), 고양 창릉(3만8천가구), 부천 대장(2만가구), 인천 계양(1만7천가구) 등 17만가구를 공급하는 3기 신도시엔 8천여가구가 추가로 조성된다.
수도권 30만가구 공급 계획에 포함된 과천지구, 수원 당수지구, 안산 장상지구 등 공공택지의 용적률 상향까지 더하면 2만여가구로 늘어난다. 도내 유휴부지인 과천청사(4천가구)도 이번 개발계획에 포함돼 도내에는 기존 대비 2만4천가구 넘는 아파트가 추가로 공급될 전망이다.
 |
4일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위해 용적률 상향, 유휴부지 개발 등을 골자로 하는 수도권 주택공급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3기 신도시가 예정된 하남 교산지구 일대.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
일단 3기 신도시의 청약을 기대하는 무주택자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가구 수가 늘어나는 만큼 경쟁률이 완화될 수 있고 공공분양인 만큼 시세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내집 마련이 가능해져서다.
다만 지자체는 '눈치보기' 입장이다. 3기 신도시의 용적률을 높이면서 당초 계획한 '저층 특화도시'가 변질돼 '과밀 초과수용 단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취득세 등 세수는 확대되겠지만 교통난 등의 문제는 가중될 수 있다.
또 유휴부지와 정비사업 등으로 서울 도심 내 10만가구 이상을 신규로 공급하기로 하면서 3기 신도시의 매력이 떨어져 흥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아울러 2기 신도시의 반발도 예상된다. 2기 신도시인 화성 동탄2신도시의 경우 용적률은 평균 170% 정도인데 3기 신도시에만 특혜를 준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커질 수 있다. 양주 옥정신도시 등 2기 신도시는 분양할 물량이 20만 가구나 남아 있어 용적률 상향을 요구할 수도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는 "각 택지지구의 특화 계획안을 최대한 살리되 일부 주거지역 용적률을 조정하는 기술적 접근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