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들어서는 '과천 정부청사' 일대 4일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위해 용적률 상향, 유휴부지 개발 등을 골자로 하는 수도권 주택공급방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유휴부지 개발계획에 포함된 과천 정부청사 일대.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과천 "반대의사 밝혔는데도 발표"
광명·시흥, 이번에도 대상서 빠져
'지자체 소통없는 추진' 모두 불만
정부의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 대해 서울시는 물론 경기도에서도 대상 지자체인 과천시가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8월 5일자 2면 보도="강남 집값 잡으려 주택 짓나" 과천시 철회 촉구) 개발을 희망하는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은 이번에도 대상에서 제외, 기약 없는 기다림에 한숨만 내쉬는 등 엇갈린 표정을 짓고 있다.
정부가 지자체와 이렇다 할 협의 없이 '8·4 대책'을 발표한데 대해 불만이 연일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과천 정부청사 유휴 부지에 공공주택을 공급하겠다는 정부 계획에 대해 지난 4일 "과천시와 시민은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는 식의 정책"이라며 철회를 촉구한 김종천 과천시장은 5일에도 "(정부에)말할 기회도 못 잡았는데 발표됐다"고 재차 반발했다.
![]() |
김종천 과천시장은 4일 긴급 브리핑을 열어 "과천시민이 숨 쉴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인 청사 유휴부지에 4천호의 대규모 공동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시민과 시에 감당할 수 없는 고통을 주는 일"이라며 "정부의 주택공급 계획에서 정부과천청사와 청사 유휴부지를 제외해 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과천시 제공 |
![]() |
사진은 보금자리지구로 지정됐다가 해제 뒤 지난 2015년 특별관리지역으로 묶인 광명·시흥지구 부지 전경.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