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8일 수원시의 한 PC방 입구에 영업중단 안내문이 붙어 있다.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n차 감염도 없는데 고위험시설…"
PC방 업주들 컴퓨터 팔아 연명도
정부 긴급지원금은 '미봉책' 지적
원격수업 전환 학원도 '매출 절벽'
"우리는 방역수칙 다 지켰어요. n차 감염도 없는 PC방이 왜 '고위험시설'이어야 합니까?"
정부가 전국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오는 20일까지 2주 추가 연장을 발표한 지난 4일 김진우 사단법인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 경기남부 지부장은 격앙된 목소리로 말했다.
그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하는 건 동의한다"면서도 "무더기 확진이 나온 적도 없는 PC방이 고위험시설에 포함된 건 이해 못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등에 질의·항의 공문을 발송해 수차례 물었지만, 시원한 답변 하나 해주는 곳이 없더라"며 "차라리 교회처럼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왔으면 억울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김 지부장은 "오늘도 2명이 폐업한다며 찾아와서 10원이라도 부품비를 더 챙겨주는 수거업체를 안내해줬다"며 "업주 중엔 컴퓨터 1라인을 팔아 임대료를 내며 버티는 이도 많다"고 토로했다.
이 때문에 수도권 PC방 업주들은 전주시처럼 강력한 방역수칙을 지키는 조건으로 운영중단에서 권고 수준으로 전환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정부도 이들의 호소에 2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코로나19로 피해가 큰 업종, 저소득층을 우선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실효가 있을 지는 미지수다.
![]() |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1주일 더 연장하며 수도권 프랜차이즈형 제과제빵점, 아이스크림·빙수점에 매장 취식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6일 오후 경기도 수원의 한 프랜차이즈형 제과제빵점의 모습.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