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후 수원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실업급여 신청자들이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08만 8000명으로 전년보다 42만 1000명 감소했다. 감소 폭 또한 지난 4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2020.11.11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고용률 작년比 2.1·1.2%p '하락'
실업률도 각각 0.7·0.6%p '상승'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됐음에도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경기·인천 지역의 고용률이 지난해 대비 낮아지고, 실업률은 늘어났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경기도의 고용률은 60.1%로 지난해 10월 62.2% 대비 2.1%p가 낮아졌다. 실업률은 늘어 지난해 동기 대비 0.7%p가 상승한 3.8%를 기록했다.
인천 역시 똑같은 흐름을 보였다. 인천의 지난달 고용률은 61.3%로 전년 대비 1.2%p가 하락했고, 실업률은 0.6%p가 늘어난 61.3%였다.
전국 역시 상황은 비슷해 취업자수가 지난 4월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취업자수는 지난 3월 19만5천명이 줄어든 뒤,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 8월(-27만4천명), 9월(-39만2천명) 8개월 연속으로 줄어들었다.
전년 대비 지난 10월의 취업자 수는 42만1천명이 줄어 전달 대비 감소 폭이 오히려 확대됐다. 10월 들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1단계로 완화됐지만, 고용시장의 불황은 좀처럼 가시지 않은 것이다.
![]() |
11일 오후 수원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실업급여 신청자들이 서류를 작성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08만 8000명으로 전년보다 42만 1000명 감소했다. 감소 폭 또한 지난 4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2020.11.11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