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300명대를 기록하는 등 대유행 위기에 놓이자 3차 재난지원금 지급 주장이 불붙고 있다. 사진은 카드형 경기지역화폐와 홍보물. 2020.9.16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李지사 '선별 방식' 실효성 지적… '전국민 소멸성 지역화폐 지급' 촉구
정치권도 '내년 설 연휴 전 시행' 거론 불구 정부 '방역이 우선' 선그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300명대를 기록하는 등 대유행 위기에 놓이자 3차 재난지원금 지급 주장이 불붙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급 필요성을 언급한 가운데 정부는 방역에 총력을 기울일 때라며 선을 긋는 모습이다.
이 지사는 지난 20일 SNS를 통해 "3차 재난지원금은 반드시 소멸성 지역화폐로 전 국민에게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수고용직·소상공인 등 일부에 지급된 2차 재난지원금의 경제적 효과가 미미하다는 언론 보도를 거론하면서 "정부의 1차 재난지원금과 2차 재난지원금은 경제 활성화 효과에서 통계적으로나 체감상으로나 큰 차이가 있었다. 1차 지원 때는 골목상권 지역경제가 흥청거린다고 느낄 정도였지만 2차 때는 정책 시행이 됐는지 수혜 당사자 외엔 느낌조차 제대로 없었다"며 "지원 금액 차이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지원 대상과 방식의 차이가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1차 재난지원금은 경기도가 올해 상반기 모든 도민에 10만원씩 지급했던 경기도형 재난 기본소득처럼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했는데 2차 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 피해가 큰 대상을 중심으로 지급됐다.
재난지원금이 소비를 진작시켜 경제를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이 지사는 이런 경제적 효과를 키우려면 모든 국민에 보편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역설해왔다.
![]() |
사진은 이재명 경기도지사 2020.10.20 /사진공동취재단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