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가 상승률이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도내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된 자영업자들의 고충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로 전년 동월 대비 6.3% 올랐다.
하지만 착한가격업소 다수의 음식 가격은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대체로 그대로다. 소비자 편의를 위해 공개된 메뉴와 음식 가격이 이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착한가격업소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물가 안정을 위해 행정안전부가 지난 201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자영업자들이 각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면 담당 공무원들이 현지 실사 작업 등 검토를 거쳐 지정한다.
지정을 위해선 지역 평균 가격 미만의 품목, 최근 1년간 가격 인하 품목, 최근 6개월 이내 가격 동결 여부 등의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현재 도내 착한가격업소는 총 704곳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된 후 최근의 물가상황을 반영하지 못해 노심초사하는 업소들이 늘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1년에 두 번 시·군에서 착한가격업소를 점검하며 지정 및 해제를 하고 있다. 지정됐다고 해서 가격을 올릴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가격 변동이 있을 때는 언제라도 지자체로 연락하면 홈페이지 정보 등에 반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승택기자 taxi2267@kyeongin.com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