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한마디 없는 국가
김영배 선감학원아동피해대책협의회 회장이 서울 중구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열린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사건 진실규명 결정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2.10.20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
"무섭다."
제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지난 10월20일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사건 진실규명 결정 발표' 기자회견을 열어 선감학원에 수용됐던 원생들이 국가폭력의 피해자임을 분명히 했다. 일평생을 부랑아로 낙인찍히고, 불행한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살아온 피해자들이 그토록 바라던 결과였다.
'이제는 달라지겠구나' 기대했던 피해자들의 안도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김영배(68) 선감학원아동피해대책협의회 회장은 이제 "무섭다"고 말했다.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 그가 느낀 무서움은 무엇에서 비롯됐을까.
10년 전, 선감학원 피해자들은 친목 모임을 만들었다. 고통스러웠던 유년 시절을 성토하기 위한 만남은 아니었다. 그저 비슷한 처지에 놓였던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충분했다. 술을 곁들인 자리에선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선감학원 이야기를 꺼냈다. 그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견딜 수 없다"는 울분이 곳곳서 터져 나왔다.
"여전히 선감학원에 수용됐던 그 시간 속에 살고있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런 사람들의 마음이 모였고, 그렇다면 우리가 겪은 일을 '세상에 알려보자'고 의기투합 한거죠." 두려웠지만 그래야만 남은 생, 후회 없이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10년 전, 선감학원 피해자들은 친목 모임을 만들었다. 그때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견딜 수 없다"는 울분이 곳곳서 터져 나왔다. 사진은 1950년대 최헌길 경기도지사와 한미재단 관계자가 선감학원에 방문했을 당시 원생들. /선감역사박물관 제공 |
2012년, 협의회란 이름 아래 모인 11명은 당시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에게 과거 선감학원에서 자행된 아동학대의 진상을 파악해 달라고 탄원서를 보냈다. 피해자들이 진실규명을 요구하며 전면에 나선 첫번째 활동이었다. 그렇게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국회 등을 오가며 진실을 위한 싸움을 이어온 협의회는 그로부터 10년만인 올해 결실을 맺었다.
"협의회 활동의 첫 번째 목적은 국가폭력의 피해자로서 정당한 권리를 찾는 거였어요. 피해자가 아닌 사람은 피해자의 '자격'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실감하기 어려울 겁니다. 피해자라는 그 자격을 얻기 위해 10년이란 시간을 쉼 없이 달려왔습니다."
김 회장은 국가폭력의 당사자인 '국가'가 피해자들에게 공식적인 사과를 내놓지 않는 것에 불안하다. 국가는 여전히 자신들을 피해자가 아닌 '부랑아'로 보고 있다는 불안이다. 1970년 선감학원에서 지도를 받고 있는 원생들의 모습. /선감역사박물관 제공 |
※특별취재팀
정치부 공지영 차장, 신현정·고건 기자, 사회교육부 배재흥·김동한 기자, 디지털콘텐츠팀 김동현 기자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