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한 달 만에 동의서명 60%… 희망 부푼 성남 금광2동 주민들

김순기 김순기 기자 입력 2021-12-15 13:08:30

2021121501000563700026141.jpg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할 정도로 좁고 구불구불한 곡몰길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 홍재욱씨의 노후된 집.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

"대문 옆 별도의 공간에 수세식이 아닌 재래식 화장실이 있는 집 보신 적 있으세요? 그동안 이곳저곳 수리하면서 살아왔는데. 수도파이프가 노후화돼 뜯어고쳤는데도 녹물이 한참 나온 뒤에 제대로 된 수돗물이 나오니 정말 갑갑하더군요. 세입자들에게 미안해 모두 내보냈죠."

성남시 중원구 금광2동 홍재욱(67)씨의 집은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할 정도로 좁고 구불구불한 언덕배기 곡몰길 안에 자리 잡고 있다. 40년 넘은 낡은 집을 제대로 손 보려해도 장비나 차량 문제로 여의치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살고 있다.

1천730여 세대가 거주하는 금광2동은 '8·10 성남(광주대단지)민권운동'을 계기로 성남 원도심(수정·중원구)이 조성되기 전부터 원주민들이 살던 곳으로 가장 비좁고 노후된 지역 중 하나다. 주택은 4층 이하 저층 연립 60%, 단독이 40% 가량이다. 100만에 가까운 대도시에 위치해 있지만 상당수 주택이 홍씨 집처럼 암담한 주거환경에 노출돼 있다.
성남 원도심 내 원주민 지역
노후화·암울한 주거환경 개선 희망
'3080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 선정
주민들 자원봉사 해가며 동의 서명 받아
이런 금광2동에 희망이 날아든 건 '3080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되면서부터다. 이 사업은 정부가 저층 주거지 등 기존 민간사업으로는 개발이 어려워 저이용·노후화되고 있는 지역을 공공 주도로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사업성을 개선, 도시를 재편하고 주택을 공급한다는 취지 아래 진행되고 있다.

금광2동 주민들은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사업 신청을 했고 지난 10월28일 성남 4곳 중 유일하게 후보지에 이름을 올렸다. 금광2동이 본격적인 재개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구지정이 선행돼야 하며 이를 위해 3분의 2 이상의 주민 동의가 필요하다. 추진위를 중심으로 지난 11월 초부터 주민 동의 서명을 받기 시작했고 한 달여 만에 주민 60%가 참여했다.



2021121501000563700026142.jpg
3080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지구지정을 위해 필요한 주민동의 서명 50%가 이뤄진 직후 성남시 금광2동에 부착된 현수막.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

추진위 이순임 위원장은 "동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많은 주민이 자원봉사를 하겠다고 나섰다. 평일에도 오후 7시가 되면 자원봉사자들이 모여 가가호호 방문해 취지를 설명하고 서명을 받는다"며 "이달 말까지 마저 동의서명을 받고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희망에 부푼 주민들이 자진해 열정적으로 참여하면서 금광2동에서는 재개발 지역에서 종종 발생하는 브로커 등 외부 세력 개입이나 내분은 찾아볼 수 없다.

주민들은 재개발이 되더라도 지금처럼 정이 넘치는 동네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순임 위원장은 "주민들은 재개발이 되도 떠나지 않고 모두 돌아와 살겠다고 한다"며 "국토부 시뮬레이션에서 3천300세대가 가능한 것으로 나왔는데 주민들은 커뮤니티센터, 녹지, 복지시설 등을 무엇보다 희망하고 있다. 같이 힘을 합쳐 모범적인 재개발 지역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