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인천, 북한 가깝고 국제기구 있어… 남북간 대화의 장 가능"

박현주
박현주 기자 phj@kyeongin.com
입력 2022-07-18 20:49 수정 2022-07-18 21:46

리사스.jpg
인천연구원은 '남북 생태환경협력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연구 : 인천 접경수역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인천을 접경수역 생물자원 연구의 최적지로 평가했다. 인천이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깝고 접경수역 생태 환경 분야에서 남북 협력을 이끌어낼 국제기구가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인천에 있는 국제기구 도움을 얻어 서해 5도 해역과 강화군 인근 한강 하구 등 접경수역 생태 환경에 대한 남북 간 협력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연구 보고서가 18일 공개됐다.

인천연구원은 이날 내놓은 '남북 생태환경협력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연구 : 인천 접경수역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인천을 접경수역 생물자원 연구의 최적지로 평가했다.

인천이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까운 데다, 접경수역 생태 환경 분야에서 남북 협력을 이끌어낼 국제기구가 인천에 있기 때문이다.

인천연구원은 접경수역이 있는 인천의 지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남북 협력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다고 했다.



접경수역 생태 환경 연구·보전 등을 통해 남북 협력을 시도해야 한다는 게 인천연구원 제언으로, 생태 환경 분야는 대북 제재 대상이 아니어서 남북 협력이 가능하다.

남북이 접경수역 생태 환경 분야에서 협력하려면, 관련 분야 국제기구의 도움이 필요하다.


인천연구원 보고서… '생태환경분야 생물자원 연구 최적지'
市 나서 '서해 남북 접경수역 생태 환경 플랫폼' 구축도 제안


이를 이끌어내는 것은 인천시와 중앙정부의 몫이다.

인천시는 지역에 있는 생태 환경 국제기구인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녹색기후기금(GCF),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 있는 동아시아 람사르지역센터(RRC-EA), 한스자이델재단 등 국제·민간기구들은 북한 국토환경보호성, 국가과학원 생물다양성연구소 등과 소통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인천시가 인천 등 국내에 있는 국제·민간기구를 활용하면, 접경수역 생태 환경 분야에서만큼은 남북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인천연구원은 내다본 것이다.

인천연구원은 이번 연구 보고서에서 인천시의 '서해 남북 접경수역 생태 환경 플랫폼' 구축도 제안했다. 이 플랫폼은 시민들이 접경수역 생태 환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가공하는 구실을 한다.

국제사회가 접경수역 습지·철새·산림 등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인천시가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인천연구원은 이를 위한 방안으로 인천시 생태 환경 관련 부서와 인천연구원이 주최하는 국제학술회의 '황해평화포럼' 등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국제 세미나를 활용해 접경수역 생태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고, 연구·보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북 협력사업은 지자체만의 노력으로 성사되기 어렵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시, 국제·민간기구, 관련 기관으로 '정책개발협의체'를 구성해 중앙정부와 협의를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천연구원 관계자는 "인천은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깝고 생태 환경 국제기구들이 있다"며 "접경수역 생태 환경을 중심으로 한 남북 공동연구는 남북 교류 재개의 모멘텀을 만들 수 있다"고 했다.

또 "북한은 생태 환경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인천시가 지역에 있는 국제기구와 협력하면 남북 대화의 장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