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교통→관광 환승' 갈길 먼 월미바다열차

유진주
유진주 기자 yoopearl@kyeongin.com
입력 2023-05-15 21:06 수정 2023-05-15 21:08

월미은하레일
월미바다열차 운행 모습. /경인일보DB
 

인천교통공사·인천관광공사가 진행 중인 인천월미바다열차 운영권 이관(4월11일자 1면 보도='교통→관광' 갈아타기, 시동 건 월미바다열차) 논의가 답보상태에 놓였다. 이들은 운영권 이관 방법부터 비용·인력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구체적인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인천관광공사와 인천교통공사는 관광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인천관광공사가 월미바다열차 운영을 맡는 게 효율적이라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운영권 이관과 관련해 실무 논의를 이어오고 있다.

월미바다열차는 '관광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진 사업이지만, 인천교통공사는 월미바다열차를 기술적 운영 위주로 담당하고 있다. 월미바다열차 운영 업무를 인천관광공사로 이관해 관광의 역할을 확대하고 월미도와 내항 1·8부두, 신포동, 차이나타운 등 구도심 일대를 관광 거점화하겠다는 게 이들 기관의 구상이다. 


코로나 사태로 3년간 200억 적자
인천교통公-관광公 이관 논의중
운영권·비용·인력활용 과제 산적


그러나 최근 실무 논의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운영권을 이관하는 방법에서부터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인천교통공사와 인천관광공사가 서로 운영권을 사고파는 방법, 인천시가 교통공사로부터 운영권을 회수한 후 관광공사에 다시 출자하는 형태 등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게 이들 기관의 설명이다.

운영권 이관에 드는 비용도 관건이다. 취득세·등록세 등 세금을 비롯해 부대비용까지 포함하면 최대 100억원 가량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월미바다열차는 철도분야 관련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점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월미바다열차는 특히 안전문제가 걸려있어 인천교통공사·인천관광공사는 인력 활용 방안을 함께 찾아야 한다.



2.jpg
사진은 월미바다열차가 시험 운행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현재 인천교통공사에서 월미바다열차 운영을 맡고 있는 직원들을 인천관광공사로 전직시키거나 새로운 직원을 채용하는 등 인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다. 인천교통공사와 인천관광공사의 임금 체계가 다를뿐더러 인력을 옮길 경우 법적인 절차도 거쳐야 해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운영권 이관이 화두에 오른 건 월미바다열차의 운영적자 때문이다. 월미바다열차는 월미도 외곽 6.1㎞ 구간을 일주하는 도심형 관광 모노레일로, 구도심 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2019년 10월 개통했다. 개통 초기에는 하루 평균 승객이 1천400여 명에 이르며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이듬해부터 코로나19 사태로 운행과 중단을 반복하면서 지난 3년간 200억원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규모는 2020년 약 60억1천만원, 2021년 약 65억2천만원, 2022년 약 58억5천만원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운영권을 이관하는 것 외에도 월미바다열차 운영은 그대로 교통공사가 하면서 관광 분야를 접목하는 방안 등 폭넓게 검토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연구용역도 인천관광공사와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