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6개월 남은 농촌공간계획법 시행… 농어촌공사 경기본부-경기도, 머리 맞댔다

김동한
김동한 기자 dong@kyeongin.com
입력 2023-09-13 18:47

2023091301000537800025491.jpg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제공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와 경기도가 농촌공간계획법(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농어촌공사 경기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송성일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개발이사와 정인노 경기지역본부장, 박종민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 등 농어촌공사·농림축산식품부·경기도·시군, 산·학·연 관계자 90여명이 참석했다.

내년 3월 농촌공간계획법 시행 앞두고
경기도 특성에 맞는 농촌 관리 위해 종합 논의
향후 의제 발굴해 협의 확대 계획


이번 포럼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진 것은 내년 3월에 시행되는 농촌공간계획법이다. 농촌지역도 도시처럼 장기 계획을 세워 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 지원할 수 있도록 한 법이다. 농촌 공간의 체계적,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농촌의 일정 지역을 용도에 따라 구획화하는 농촌특화지구를 도입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각 분야 전문가들은 농촌공간계획법의 주요 내용과 과제, 농촌공간 정비사업에 대한 이해와 경기도의 대응방안, 경기도의 농촌 개발 사업 추진 사례, 농촌공간 정책 시행에 따른 주체별 역할 등을 주로 논의했다.

2023091301000537800025492.jpg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제공

종합토론에선 난개발·지방소멸 등 경기도 농촌이 직면한 문제를 공유하면서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하는 한편 대응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향후 농어촌공사 경기본부는 지역 내 농촌 공간 조성에 대한 의제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와 각 지역 연구원, 대학 등과의 협의를 확대해 지역 개발 발전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정인노 본부장은 "포럼을 계기로 경기도 관계자들과 함께 기존에 구축된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산·학·연과도 지속적으로 협력해 발전적인 대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3091301000537800025493.jpg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본부)는 지난 12일 화성시 라비돌리조트에서 '2023년 경기 농촌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제공

/김동한기자 dong@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