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귀국하는 김동연,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논란 직접 밝힐까

이영지
이영지 기자 bbangzi@kyeongin.com
입력 2024-05-17 18:27 수정 2024-05-18 10:36

청원 답 의무… 경기도 “조율단계”

1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 평화누리홀에서 열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새이름 대국민 보고회에서 석창우 화백이 새이름 공개 서예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24.5.1 /경기도 제공

1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 평화누리홀에서 열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새이름 대국민 보고회에서 석창우 화백이 새이름 공개 서예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24.5.1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평화누리특별자치도’ 논란(5월10일자 3면보도=[이슈추적] 관심끌기 ‘무리수’·독창성 부족… 평화누리도 역풍 ‘일파만파’)에 직접 입을 열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11박 13일 간의 미국·캐나다 출장 일정을 마치고 오는 18일 입국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지난 1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이하 경기북도)의 새 이름 짓기 공모전 결과를 발표했는데, 대상작으로 선정된 평화누리특별자치도를 두고 반발 여론이 들끓었다. 이와 함께 선정 과정에 대한 형평성 논란까지 불거져 아직까지 속시원히 수습되지는 못한 상황이다.

발표 당일 올라온 경기도민청원 참여자는 17일 기준 4만8천여명에 육박하고 있고, 국회 국민동의청원에도 ‘경기북도 분리정책 즉각 중단 요청에 관한 청원’에 3천948명이 서명했다.

도민청원의 경우 참여자가 1만명이 넘으면 도지사가 직접 혹은 서면으로 30일 이내에 답변해야하는데 김 지사는 아직 논란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청원은 역대 청원 중 ‘최단기간’에 답변 기준을 넘었다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세웠다. 또한, 도민청원에 올라온 112개 청원 중 경기북도와 평화누리 이름 관련 청원만 70개가 넘는다.

현재 청원 뿐만 아니라, 김 지사의 SNS에도 논란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는 댓글이 빗발치고 있다.

평화누리 이름 논란이 자칫하면 김 지사의 역점사업인 경기북도 설치에까지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돼 답변에 대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다만, 경기도는 평화누리특별자치도가 정식 명칭이 아니라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어 공모 결과를 무효화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답변 방향과 내용 모두 최종 조율 단계이지만, 확정된 것은 없다”며 “경기북도 특별법 발의에 주력하고 있다. 경기북부 도민들에게도 경기북도의 내용을 설명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