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경인신공] 신문 읽을수록 ‘성적 일취월장’

조윤영 조윤영 기자 발행일 2015-11-10 제18면

일본·핀란드 학생 수학·과학실력 향상
미국 대학생도 동일한 연구 결과 나와

신문을 정기적으로 읽는 학생들의 성적이 읽지 않는 학생들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을 읽으면 비판적인 사고력이 향상돼 국어 과목뿐 아니라 수학, 과학 등 전체 과목의 성적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신문협회가 최근 일본 문부과학성과 공동 시행한 초·중학생 ‘전국 학력·학습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문을 꾸준히 읽을수록 학교 성적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신문협회는 표본으로 선정된 초등 6학년, 중학 3학년 학생들을 신문 읽는 빈도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의 성적을 비교했다.

조사 결과 거의 매일 신문을 읽는 집단과 거의 읽지 않는 집단 사이에는 일본어 4.6~11점, 수학은 7.8~11.7점, 과학은 8.8~9.7점씩 점수가 벌어졌다. 두 연령대 모두 신문 읽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성적도 좋았다.

신문 읽기는 성적 향상은 물론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핀란드 이위베스퀼레대학 연구진은 만 15세 이상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신문을 읽는 빈도가 높을수록 수학과 과학에서도 성적이 높았다고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신문을 거의 매일 읽는 집단은 거의 읽지 않는 집단보다 읽기 과목은 약 12%, 수학은 8%, 과학은 9%씩 각각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핀란드 29세 이하 청년층에서 신문 구독자의 71%가 투표를 하고, 비(非)구독자는 40%가 투표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대학생도 신문을 많이 읽을수록 학점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프로비던스의 미리엄병원 행동의학과 연구진은 대학생 483명의 미디어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신문을 많이 읽는 학생의 성적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학생들이 하루 중 신문, SNS, 휴대폰 문자메시지 등 모든 미디어에 할애하는 시간을 조사했는데 신문 읽는 시간이 길수록 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인일보가 주최하고 경기도교육청과 인천시교육청,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후원하는 ‘경인신공 NIE 대회’ 공모전은 오는 13일까지 경인일보(홈페이지 참조)로 접수하면 된다.

/조윤영기자 jyy@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