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인터뷰… 공감]'모던 인천 시리즈 1' 펴낸 일본인 건축가 도미이 마사노리 교수

정운 정운 기자 발행일 2017-12-20 제9면

"역사자산 매력 넘치는 인천
지역이 관심 갖고 연구해야"

도미이 마사노리 교수가 2015년 리모델링 작업에 참여한 인천 중구 근대건축물 '관동갤러리'. 이 건물은 여러 세대가 지붕과 벽체를 공유하는 전형적인 '나가야(町屋)' 형식의 일제시대 서민 주택이다. 왼쪽은 관장 부부가 사는 살림집으로, 오른쪽은 갤러리로 쓰이고 있다. 사진은 건물 전경과 도면. /경인일보DB

1930년대 조감도·사진첩 토대 지역별로 기록… 세밀함에 놀라
관동갤러리 리모델링 작업 참여… 부평 영단주택 주제로 강연도
학생들 열정에 반해 한국 정착… 월미도·인천항·강화도에 관심
일본식 건축구조에 온돌 접목 등 독특한 특성 연구에 힘보탤 것


2017121901001213800058524
인천은 일제 시대 지어진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다. 1883년 개항이 이뤄지면서 일본인들이 대거 이주해 살았고, 이들은 자신의 방식대로 건축물을 지어 생활했다.

이 건축물들은 하역사 사무소, 주택 등으로 활용됐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도 일본식 건축물은 잇따라 지어졌고 이러한 흔적은 인천 중구, 부평구 등 1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남아 인천 곳곳에 스며 있다.

인천 인터뷰 공감 도미이 마사노리 한양대 객원교수13
1930년대 인천의 모습을 담은 책 '모던 인천 시리즈 1'을 펴낸 도미이 마사노리(富井 正憲·69) 한양대 객원교수는 "인천은 다양한 역사자산과 상반되는 특성이 공존하는 독특한 도시"라며 "인천의 젊은 연구자들이 이러한 부분 등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다면 자신이 도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도미이 마사노리(富井 正憲·69) 한양대 객원교수(건축학과)는 이러한 인천의 매력에 빠진 일본인 건축가다.



그는 지난 8월 1930년대 인천의 모습을 담은 책 '모던 인천 시리즈 1'을 펴냈다. 김용하 전 인천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인천에 사는 일본인 작가 도다 이쿠코 등이 공저자다. 1930년대 조선신문사가 발행한 조감도 '대경성부대관'과 사진첩 '대경성도시대관'을 토대로 만들어진 이 책은 당시 인천을 소개하고 있다.

조감도와 사진첩의 '인천부' 부분을 바탕으로 인천 중구 관동, 사동, 율목동, 북성동, 해안동 등 각 지역별로 1930년대 인천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사진첩을 설명한 부분에서는 개항장을 중심으로 인천의 명승지나 사찰, 관공서, 학교, 병원, 민간회사, 상점, 공장 등을 망라해 간단한 설명을 붙였다. 이 중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에 대해서는 현재 용도와 상호 등을 넣어 현재와 과거 인천을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왔다.

그는 "사진첩의 존재는 일찍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조감도인 대경성부대관은 오랫동안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며 "처음으로 조감도 존재를 안 시기는 2011년이며, 그 세밀함과 아름다움에 놀랐다"고 했다.

이어 "인천은 개항장을 중심으로 일본인이 거주했던 지역과 한국인이 살았던 지역이 확연하게 구분되며, 조감도에 이러한 부분이 명확하게 드러난다"며 "또한 개항장 뿐 아니라 부평 등 근대건축물이 남아 있는 곳이 곳곳에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그 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역사이기도 한만큼 가능하면 남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미이 교수는 2015년 인천 중구 개항장에 있는 근대건축물 '관동갤러리'의 리모델링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으며, 개항장 뿐 아니라 부평 영단주택 등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의 도쿄대 박사학위 논문도 한국과 대만, 중국의 영단주택을 비교·분석한 내용이 주제다. 최근 부평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부평 산곡동 영단주택의 건축학적 조명'을 주제로 강연을 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그는 "당시 백마장이라고 불렸던 산곡동 영단주택은 다른 나라의 영단주택과는 달리 한국인을 위한 구조로 설계됐다는 특징이 있다"며 "이는 당시 한국인이 설계와 감리를 맡았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이 지역은 재개발이 추진되고 있지만, 일부라도 현재 자리에 남겨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산곡동 영단주택은 당시엔 드물게 700호에 이르는 공동주택일 뿐 아니라, 일본식 건축구조에 온돌이 접목되는 등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한국의 근대건축과 관련한 자료이지만, 아직 공개되지 않은 자료가 일본에 많이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당시 인천에 살다가 해방 이후 일본으로 돌아간 이들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포스터, 그림, 엽서, 지도, 사진, 도면, 스케치 등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도미이 교수는 "한국에 거주했던 일본인들이 자료를 가지고 일본으로 갔고, 그들은 당시 한국의 모습에 대해 기억하고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그 아들이나 손자 등은 그 자료에 대한 관심이 없을 것이다. 소중한 자료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인천시와 인천 지역 연구자들에 대한 쓴소리도 아끼지 않았다.

그가 김용하 박사와 펴낸 '모던 인천시리즈 1'과 같은 책은 지역에서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천시나 중구, 인천지역에 있는 대학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주제라고 생각한다"며 "인천은 많은 역사 자산을 가지고 있는 매력적인 도시다. 앞으로 인천을 조명하는 작업이 더욱 활발히 이뤄져야 할 것이며, 그 주체는 지역의 연구자들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가 한국과 처음 연을 맺은 것은 1983년이다. 이후 논문을 집필하기 위해서 3년간 일본과 한국을 오가면서 연구를 했다. 이후 한국에 정착하게 된 것은 2004년부터. 한양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지내면서 한국에 살게 됐다. 이후 같은 학교에서 전임교수를 거쳐 객원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도미이 교수는 한국에 정착하게 된 가장 큰 계기는 '학생'이었다고 한다. 한국의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일본학생과는 다른 한국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모습에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

학생들이 유학을 하지 않고도 일본의 건축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돕고 싶은 마음에서 13년간 한국에서 가르치고 있다. 당시 일본에 남아 있으라는 주변의 이야기를 뿌리치고 한국 정착을 결심했다.

그는 "제가 한국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 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인천의 젊은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대한건축사회 인천시건축사회와 요코하마건축사협회가 교류하는 장을 마련하는 데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고 생각하면 다시 일본으로 돌아갈 것이지만, 아직 그 시기가 언제 올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도미이 교수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지역은 월미도, 인천항, 강화도라고 했다.

월미도는 좁은 공간에 유원지시설과 군사시설이 모여있다는 특징이 있다고 했다. 가장 상반되는 시설이 한 공간에 모였다는 것 자체가 '재미있는' 공간이라고 표현했다.

인천항에 대한 관심은 인천 바다의 조차와 관련돼 있다. 조수간만의 차가 9m에 이르는 바다는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인천에는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갑문이라는 구조물이 생기기도 했다. 도미이 교수는 인천바다의 조차로 인해서 생긴 건축물과 생활양식 등이 흥미로운 연구주제라고 강조했다.

최근에는 강화도를 자주 찾았다고 한다. 강화도는 '지붕없는 박물관'이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사자산을 품고 있는 곳이다. 도미이 교수가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는 고려시대 자산과 강화성공회교회와 같은 근대 건축물 등이다.

도미이 교수는 "인천은 다양한 역사자산과 상반되는 특성이 공존하는 독특한 도시"라며 "제가 이 모든 것을 책임지고 연구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인천의 젊은 연구자들이 이러한 부분 등에 대해 연구를 진행한다면 제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건축가로서의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최근 경상북도 경주와 경기도 용인시 등의 주택 설계를 담당하기도 했다. 그는 "최근에 지은 주택에 대해서는 마당의 쓰임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며 "건축하는 모든 부지는 생활하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당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느냐가 생활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근대건축물에 대한 책을 펴냈지만, 건축가는 과거보다는 미래를 조망하고 대비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며 "저의 연구와 건축·설계 등 작업이 미래 세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글/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사진/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인천 인터뷰 공감 도미이 마사노리 한양대 객원교수9

■도미이 마사노리 교수는?

▲일본 도쿄 출생 (1948년)

▲1973~2008년 가나가와대학 재직

▲ 1986~1987년 서울대학교 연구원

▲1996년 도쿄대학 박사학위

▲1997~2009년 동경대학 생활기술연구소 연구원

▲2004~ 현재 한양대 건축학부 교수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