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김영준의 재밌는 클래식·(6)빨강머리 사제의 '사계']음악으로 시각효과 구현한 비발디

김영준 김영준 기자 발행일 2019-04-12 제1면

병원학교 교사로 근무하며 작곡
같은 선율 지적속 '표현력 최고'

2019041001001009900048381




비발디의 '사계'.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클래식으로 꼽힌다.

1725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탄생했다. '사계'는 협주곡집 '화성과 창의의 시도, Op 8'(전체 12곡)의 1번부터 4번까지이다.

'사계'를 듣고 있노라면 봄에 피어나는 신록과 새들의 노래, 여름의 무더위와 그것을 식혀주는 소나기, 가을의 풍성한 들판, 겨울의 매서운 눈보라와 집 안 난롯가에 모여 앉아 정담을 나누는 농부들의 모습 등이 풍경처럼 지나간다.



이처럼 비발디가 음악으로 구현해 낸 시각적인 효과는 오늘날 영화에서 컴퓨터그래픽(CG)을 통해 만들어내는 획기적인 장면만큼이나 당대에는 크나큰 충격을 줬을 게 분명하다. '사계' 중 '봄'을 보자.

우리처럼 4계절이 뚜렷한 곳에 사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봄 풍경을 담아냈다. 음악이 시작되면 새들의 지저귐이 메아리치는데, 바이올린으로 구현한 새의 지저귐과 메아리는 당시 상상하지 못한 표현이었다.

화창한 날에 이어 갑자기 내리는 봄비와 꽃샘추위 등 '봄의 변덕'은 또 어떤가. 현악기만으로 어찌 그렇게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 궁금할 정도다. 그 자체로 대단한 발명이다.

비발디는 15세였던 1693년 가톨릭 사제가 되고자 마음 먹었으며 10년 후 사제가 되었다. 하지만 천식으로 인해 미사를 집전할 수 없었다.

머리털이 붉었던 비발디에게 '미사를 올리지 않는 빨강 머리의 사제'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이다. 이때부터 비발디는 부모를 잃은 소녀들을 위한 베네치아 자선 병원 부속 학교에서 성직자이자 음악교사로 20여 년 일하면서 학생들을 위해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이때 비발디가 가르친 학생들의 합주력이 프랑스 베르사유 왕립악단을 능가할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만 20세기 작곡가 스트라빈스키는 "(하나의 선율로) 똑같은 협주곡을 수백 곡 쓴 사람"이라고 비발디를 평가절하했다.

스트라빈스키의 말처럼 비발디는 선율의 창의력 면에서는 뛰어나지 않았지만 그 당시 작곡가들과 비교했을 때 화성과 다이내믹, 표현력 면에서 최고의 성과를 일궈냈다.

비발디가 이 같은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장인들의 악기 개량과 제작 기술이 있다.

현재까지도 그 명성을 떨치고 있는 바이올린 제작자 스트라디바리와 과르네리가 대표적이다. 비발디는 이들이 제작한 훌륭한 악기에 걸맞은 표현력을 창안하는 것으로 답했다.

/김영준 인천본사 문화체육부장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