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수도권매립지 종료 압박 언론 주도에 '보복카드' 의심

김민재 김민재 기자 발행일 2019-08-05 제3면

공사 종이신문 절독, 배경 뭘까

8.jpg


2010년부터 이슈화 비판 쏟아내
중단 현실화땐 '해체 수준 개편'
사후관리만… 주요수익 사라져

폐기물 전처리시설 추진 '뭇매'
"전자스크랩, 비용 절감" 해명

인천에 쓰레기를 묻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모든 지역신문 구독을 중단하면서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 종료 압박 여론에 대한 '분풀이'가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운영을 2025년 중단해야 한다는 여론을 지역신문이 주도하자 보복카드로 내놓은 것이라는 해석까지 나오고 있다.

1992년 첫 반입을 시작한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종료 이슈가 수면에 떠오른 때는 2010년 민선 5기 송영길 시장 부임 직후다.



서울시와 환경부가 2016년 종료 예정이던 매립지를 2044년까지 연장하고, 더 나아가 영구화까지 시도하자 경인일보를 비롯한 지역신문이 일제히 2016년 종료 목소리를 냈다.

특히 1천억원이 넘는 아라뱃길 매각대금과 매립지 내 아시안게임 경기장·골프장 건설을 매립기간 연장과 바꿔치기 하려는 속내가 드러나면서 지역신문이 이를 앞장서 보도하고 비판했다.

2015년 환경부와 3개 시·도가 매립기간을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한 4자 합의 이후 잠잠하던 매립 종료 문제는 민선 7기 인천시가 자체 매립지 조성을 추진하자 다시금 이슈로 떠올랐다.

지역신문이 중심이 돼 인천시 정책 결정을 지지하는 여론이 일면서 매립 종료 현실화 조짐이 보이자 매립지공사는 존재 이유가 사라질 처지에 놓였다.

매립지 사용이 끝나면 매립지공사는 해체 수준의 개편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매립지공사는 핵심 역할이었던 폐기물 처리는 끝나고 매립 부지 지반 안정화와 배출가스·침출수 관리 등 사후 관리 업무만 맡게 된다. 


66.jpg

또 폐기물 반입수수료 등 주요 수익원도 사라지기 때문에 적립해 둔 사후 관리비용과 매립가스 발전소, 골프장 수익으로만 매립지를 운영해야 한다.

다급해진 매립지공사는 환경부와 3개 시·도로 구성된 매립지 현안 논의 테이블의 당사자가 아닌 상황에서도 매립기간 연장의 핵심 시설인 폐기물 전처리(선별·분리) 시설의 설치를 추진했다가 시민단체를 비롯해 지역 언론에 두들겨 맞았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서구발전협의회는 이를 계기로 서주원 매립지공사 사장의 퇴진 운동까지 벌이고 나선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매립지공사가 지역 여론과의 소통 창구라고 할 수 있는 지역신문의 구독 중단을 공식화했다. 지역신문이 매립지 종료 여론을 이끌자 매립지공사가 지역 언론 생태계의 밑바탕이 되는 종이신문의 절독으로 응수했다는 뒷말이 나오는 이유다.

매립지공사는 표면적으로는 비용절감과 효율화를 위해 오프라인 구독을 중단하고, 온라인 구독으로 일원화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인천에 엄청난 피해를 안기면서 존립하는 공기업이 지역신문을 향해 내놓을 대책이 아니다. 지역에 기반한 공기업은 종이신문의 구독을 늘려 지역 신문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매립지공사는 이번 절독 사태에 대해 "스마트폰을 통한 기사 검색 보편화에 따라 종이신문 활용도가 저하돼 전자스크랩으로 일원화하고, 비용·행정력·자원 등을 절감하고자 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