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日수출규제 대응' 보폭 넓히기 지원사격 요청

강기정 강기정 기자 발행일 2019-09-04 제3면

경기도, 국회의원과 정책협의회

'지역맞춤형' 신보 보증한도 상향
외투지역 신규지정 요건 완화통한
부품소재 국산화등 "힘 실어달라"


일본의 수출 규제 방침에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한 경기도가 피해 기업 지원과 부품소재 국산화 작업을 꾸준히 확대한다.

3일 오전 도내 여야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정책협의회를 연 도는 부품소재 국산화를 위한 단지형 외국인 투자지역의 신규 지정 요건을 완화하는데 힘을 실어달라고 요청했다.

외투기업의 입주율을 산정할 때 외국인투자촉진법 제정 이전의 외투임대단지를 포함시키는 한편 FDI 신고와 MOU 수요를 비수도권과 동일하게 적용해줄 것을 촉구했다.



또 지역 실정에 맞는 보증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한도를 현재 8억원에서 15억원까지 상향하는데 도움을 줄 것을 부탁했다. 현재 4억원에 불과한 재보증한도도 8억원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앞서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밀집해있는 경기도는 일본의 수출 규제로 지역 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관측, 긴급자금지원과 (가칭)경기글로벌기술협력센터 구축 등 관련 대책을 발 빠르게 내놓는 한편 세수 감소로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에서도 수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1천6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

경기신용보증재단도 반도체 관련 수출 규제 품목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에 한정했던 특별경영자금 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키로 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 품목을 취급하는 모든 중소기업으로 대상을 넓히기로 한 것이다.

"일본의 경제 침공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이재명 도지사의 의지를 반영한 결과라는 게 경기신보 측 설명이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등 일본 수출 규제 피해 관련 신고센터를 운영 중인 유관기관과 도 자금 협약 은행과 협력해 기업들이 해당 특별경영자금을 활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민우 경기신보 이사장은 "경기도, 유관기관과 협력해 일본 수출 규제로 피해를 입은 기업들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