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독립운동과 인천·(36)]권평근과 방향전환사건

김민재 김민재 기자 발행일 2019-11-21 제1면

일제의 한·중 이간질… 애꿎은 화교들 박해당해

무차별 폭력 전국서 400건 발생
이후 피습 자제·위문금 이어져


2019112001001417100067451
항구도시 인천은 예나 지금이나 외국인이 모여드는 국제도시였다. 특히 인천 개항장 차이나타운의 화교는 인천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일제 강점기, 1931년 7월 3일 인천시민들이 차이나타운의 중국인들을 향해 무차별 폭력을 가한 불행한 사건이 있었다.

중국 동북지방의 동포 200명이 중국 농민과 충돌하고 박해를 당했다는 소식이 인천에 전해지면서 애꿎은 화교들에게 분풀이를 했던 거다.



이는 일본의 간계에 속은 중국 주재 조선일보 기자의 오보 때문에 빚어진 일이었으나 결과는 참혹했다. 인천에서 시작된 화교에 대한 보복은 전국으로 퍼져나가 400건의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

인천에서만 200명의 피의자가 검거됐고, 화교들은 인천을 떠나 중국으로 도망쳤다. 이 일은 아직도 인천 화교사회에 잔인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이때 인천의 애국지사이자 노동 운동가였던 권평근(1900~1945)은 중국인과 한국인을 상대로 이간계를 펼친 일제로 분노의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평근은 이른바 '방향전환사건'을 계획해 중국이 아닌 일본 제국주의를 타도하는 데 민중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일제에 침략당한 중국인과 한국인이 서로 싸울 게 아니라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당당하게 주권 회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애국 동지들을 설득했다.

권평근의 방향전환사건은 비록 사전에 발각돼 실패하고 말았지만, 당시 인천 지역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투쟁의 대상이 일제임을 명확히 재인식하게 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후 각계의 중국인 피습 자제 요청이 이어졌고, 인천 객주조합과 미상조합, 포목상조합, 신용조합 등이 중국에 사과했다. 일본인이 중심이었던 인천상공회의소조차 중국에 위문금을 전달했다. 시민들도 기부금을 모집해 성의를 표했다.

애석하게도 권평근은 해방 직후, 1945년 9월 8일 인천항에서 미군 환영행사 도중 질서유지를 명분으로 일본 경찰이 쏜 총에 맞아 숨을 거뒀다.

일제를 완전히 밀어내지 못했던 반쪽짜리 해방공간에서 그는 투쟁의 열매를 맛볼 새도 없이 생을 마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