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사설]갈수록 나빠지는 고용지표 개선여지 있나

경인일보 발행일 2020-08-13 제19면

경기도의 고용상황이 갈수록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시작된 금년 1월 이후 취업자 수가 점차 줄더니 4월부터는 감소세가 더욱 확대된 것이다.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가 지난 4월 7만2천명, 5월 5만9천명 감소에서 6월에는 무려 11만4천명으로 하락폭은 1999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 6월의 경기도내 고용률은 60.6%로 작년 같은 달 대비 2.2%포인트 낮아졌다. 전국적으로 35만2천명의 취업자가 줄었는데 그 중 3분의 1이 경기도에서 사라진 일자리였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나 직무를 중단한 일시휴직자까지 포함하면 일을 놓은 노동자 수가 도내에서만 수십만 명에 이른다.

서비스업에서 시작된 고용침체가 제조와 건설업에 이어 전기, 운수, 통신 등 산업전반에 걸쳐 퍼질 것으로 우려돼 도미노 고용위기도 간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장기국면의 코로나19에 우리 경제의 주축인 제조업과 가정의 허리인 3040세대의 일자리가 더 큰 충격을 받고 있다. 6월 현재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6만5천명이 줄어 국내전체 취업자 감소분 35만2천명의 20%를 차지했는데 이 중 95%가 3040 근로자인 것이다. 7월의 청년실업률은 9.7%로 전달보다 약간 개선되었지만 취업전선은 꽁꽁 얼어붙었다.

전문가들은 1998년 외환위기에 근접한 쇼크 상황으로 진단하고 확실한 코로나19 백신, 치료제가 나올 때까지 취업자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달 14일 기획재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거론하며 2025년까지 160조원을 투입해 일자리 190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발표했다. 고용노동부는 금년 중에 12조원의 예산을 풀어 고용유지, 실업자 및 취약계층 생계와 일자리 지원, 실업자 재취업 등에 팔을 걷어붙였다.



그러나 정부가 내놓은 일자리의 대부분이 단순 업무에다 단기고용이어서 청년들은 시큰둥한 반응이다. 항간에서는 정부가 돈을 풀어 고용을 창출하는 것은 혈세만 낭비할 뿐 기업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조성이 우선이라는 주장이 비등하다. '한국판 뉴딜' 로드맵도 곳곳에 부실징후가 확인되고 한국경제를 견인하는 수도권의 고용흡수력이 떨어져 큰일인데 정부는 나쁜 일자리를 늘려 취업률 통계수치만 개선하려는 인상이어서 개운치 못하다.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