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조선 왕실 태봉·태실, 경기도내 65개소 확인

신현정 신현정 기자 발행일 2021-12-20 제2면

경기도·경기문화재연구원 보고서 발간

2
경기도가 지난 3년간 실태 조사를 벌여 도내에 실제 존재하는 조선 왕실 태봉(胎峰)과 태실(胎室) 65곳을 확인했다. 사진은 광주 퇴촌면 원당리 성종왕녀 태실 발굴조사 일반인 현장공개 설명회. 2021.12.19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경기도 내 조선 왕실의 태봉(胎峰)과 태실(胎室)이 65개소에 실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은 2019년부터 3년간 도내 조선 왕실의 태봉·태실에 대한 문헌 분석 등 실태조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파악, '경기도 태봉·태실 보고서'로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한 후 길지를 선정해 그 태(태반과 탯줄)를 봉안하는 공간을 말한다. 태봉은 태를 봉인한 산봉우리를 뜻한다.

태(胎)를 봉안하는 안태 문화는 일제강점기와 산업화를 거치며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다수가 사라졌다. 게다가 다수 태봉(태실)의 실제 존재가 파악되지 않아 관련 책자마다 수치가 다르기도 했다.



이에 도는 2019년부터 경기문화재연구원과 실태조사를 진행, 도내 19개 시·군에서 태봉 30개소와 태실 35개소를 확인했다. 안산시 고잔동에 숙종왕녀의 태실과 양주시 덕정동의 태봉 등 도내 곳곳의 태봉·태실이 보고서로 정리됐다.

이 뿐만 아니라, 도내 태봉·태실에 대한 문헌 자료와 전문가 소장 자료, 조사원들이 직접 수집한 태봉·태실 사진 등도 수록됐다.

특히 태실 보존을 위해 힘쓴 도민들의 노력이 주목된다. 양평 백안리의 이희원(83)씨는 양평 대흥리 태실이 도굴당한 1972년 3월 2일, 자신의 일기장에 당시 태지석(태의 주인공 이름과 출생일을 기록한 돌) 명문을 옮겨 적었다. 이 내용은 대흥리 태실이 조선 성종의 왕자 부수(富壽)의 태실임을 알리는 중요한 자료로 쓰였다.

한편, 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은 태실 유적에 대한 보존대책을 세워 안내판과 울타리를 설치할 계획이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