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기고] 한강 하구, 통합관리 위한 조사부터 -한강 하구를 살리자 ④

입력 2022-07-05 20:13

장정구-환경특별시추진단장.jpg
장정구 인천시 환경특별시추진단장
김포 전류리는 강물이 뒤집힌다고 해서 '전류리(顚流里)'이다. 바다로 향하던 강물이 하루에 두 번 역류하는데 해일처럼 거세다. 밀물 영향이다. 바닷물은 달과 지구의 끌어당기는 힘에 따라 하루 두번 주기적으로 오르내린다. 바다는 6시간을 주기로 밀물과 썰물이 바뀌는데 인천 앞바다는 조수 간만의 차가 9m에 이른다.

강화대교 부근에서는 물이 7시간 빠지고 5시간 들어온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교하에서는 8시간 빠지고 4시간 들어온다. 전류리는 9시간, 3시간이다. 임진강에서는 고랑포까지, 한강에서는 신곡수중보가 없으면 잠실까지 영향을 받는다. 날물과 들물 사이 잔잔한 시간도 있고 사리와 조금에 따라서 흐름이 다르다.

수자원생태공원, 물재생센터, 수질복원센터, 레코파크. 하수종말처리장의 다른 이름들이다. 난지물재생센터, 서남물재생센터, 일산수질복원센터, 김포레코파크, 북부수자원생태공원까지 한강 하구 인근에 위치한 하수처리장들이다. 서울 1천만명과 김포, 고양, 부천, 부평, 계양의 약 300만명. 팔당과 잠실의 한강물은 생활용수가 되었다가 하수처리장을 거쳐 다시 한강으로 쏟아져 나온다.  


미세플라스틱 등 인천 바다 고농도
한강 하구 비닐쓰레기 충격적 수준
새우 그물서 새우보다 더 많은 비닐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10 이하, 총유기탄소량(TOC) 25 이하, 부유물질(SS) 10 이하, 총질소(T-N) 20 이하, 총인(T-P) 2 이하, 총대장균군수 3천 이하, 생태독성(TU) 1 이하. Ⅲ지역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 기준이다. 기준 이내라 하더라도 처리수는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도로 등에서 흘러드는 오염 또한 적지 않다. 최근에는 미세플라스틱과 합성머스크까지 인천 앞바다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은 그냥 지나칠 문제가 아니다.

한강 하구의 비닐 쓰레기는 충격적 수준이다. 1970년대 비닐부터 80년대, 90년대까지. 최근 쓰레기는 별로 없고 대부분이 10년 이상 된 쓰레기들이다. 건져 올린 새우 그물에서 새우보다 더 많이 비닐이 쏟아지는 것이 지금의 한강 하구 현실이다. 어민들은 비닐 쓰레기 속에서 새우를 선별하기 위해 선풍기를 틀고 채를 친다. 얼마 전부터는 전동선별기까지 등장했다.



쓰레기가 집중적으로 떠내려오는 장마철이 아닌 봄철 상황이다. 비닐 쓰레기 양도 양인데 도대체 이 비닐 쓰레기들이 수십 년 동안 어디에 있다가 지금에야 그물에 걸리는지 아무도 모른다. 장마철 일시적으로 많은 쓰레기가 떠내려와 한강 하구 어딘가에 가라앉아 쌓였다가 밀물에 떠올라 그물에 걸리는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어민들 증언으로는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인단다. 어민들은 수산물에 대한 낙인효과를 우려해 쉬쉬하지만 상황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한강, 임진강과 예성강, 조강과 염하, 공릉천과 굴포천 그리고 경인운하 아라천까지. 열린 한강은 정말 다이내믹하다. 썰물 때 홍수가 나면 엄청난 침식이 발생한다. 밀물 때 홍수가 발생하면 상류에서 떠내려온 흙과 모래가 쌓인다. 쓰레기도 쌓인다. 하루아침에 서울 여의도 만한 모래섬 풀등이 생기기도 하고 또 사라지기도 한다. 날마다 다르다.

법적 책임 경계 따라 조사 시작해야
바다·강 '상시 측정망'부터 설치를


누구는 한강 하구에서 남북 경제협력을 이야기하고 누구는 자연상태보고로 보전해야 한다고 한다. 인천뿐 아니라 경기와 서울, 강화와 김포, 고양과 파주, 강원과 충청, 북한까지. 모두가 함께해야 하지만 모두 한강 하구를 잘 모른다. 접경지역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것이 정말 없을까? 인천시는 2020년 지자체, 전문가, 시민단체 등과 '한강하구 생태환경통합관리협의회'를 구성했다. 나름 한강 하구의 공간적 범위에 합의하고 통합관리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천의 물관리가 일원화되었지만 하구의 물관리는 아직이다. 모두가 통합관리를 이야기하는데 무엇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서 막힌다. 강과 바다, 통합관리 전이라도 지금의 법적 책임 경계에 따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한강 하구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 바다는 바다대로, 강은 강대로 상시 측정망부터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열린 하구'에 대한 조사 내용과 방법 등에 대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장정구 인천시 환경특별시추진단장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