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지원 끊긴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 '운영난'… '업무량 그대로'

변민철
변민철 기자 bmc0502@kyeongin.com
입력 2024-03-04 20:18 수정 2024-03-04 21:19

지원센터, 작년 정부예산 삭감 중단
국비2억·시비2억 이달 재개 계획
민간 소지역 센터 "노동자 큰 불편
인건비 부담… 직원 출근 5회→3회"

 

123333.jpg
사진은 의정부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2층.(기사 내용과는 관련없음.) /경인일보DB

인천시가 정부의 예산 지원 중단으로 지난해 말 폐쇄된 인천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를 이달 중 다시 운영할 계획(2월5일자 2면 보도=인천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이르면 내달 재개소)인 가운데 민간단체의 소규모 센터들은 보조금이 끊긴 이후 여전히 심각한 운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인천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는 고용노동부 사업으로 지난 2010년 문을 열었다. 그러다 정부가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하면서 지난해 12월31일부터 운영이 중단됐다. 외국인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통역 지원, 정책 정보 제공, 노동 상담 등의 역할을 맡아왔던 전국 광역 단위 센터들이 일제히 폐쇄된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4일 '외국인노동자 지역정착공모사업'을 진행해 인천 등 전국 9개 광역·기초자치단체를 선정하고 국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가 올해부터 3년간 매년 2억원을 각 지자체에 주며, 인천시는 국비에 매년 2억원을 더해 총 4억원으로 센터를 이달부터 다시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6억4천여만원이었던 센터 운영 예산에서 2억원 가량 삭감된 것이다.

문제는 민간단체 등이 운영하는 이른바 '소지역(규모) 센터'다. 지난해 인건비 등에 대한 정부 지원이 끊긴 뒤 운영난을 겪고 있는 이런 센터는 전국에 30여 개나 있다. 소지역 센터인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는 고용노동부로부터 직원 2명 중 1명에 대한 인건비를 받아왔는데, 보조금이 중단된 이후 직원 출근 횟수를 주 5회에서 3회로 줄이는 등 자구책을 찾고 있다.



박경서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장은 "많을 때는 한 달에 200여 명의 외국인노동자가 센터를 찾아와 도움을 받고 간다"며 "정부의 예산 지원이 끊기면서 직원 출근 횟수를 줄이다 보니 노동자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푸념했다. 그러면서 "여기저기 후원받을 수 있는 기관을 알아보고 있는데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시는 이달 중 문을 다시 열 예정인 인천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의 운영 상황을 지켜본 뒤 소지역 센터에 대한 예산 지원 여부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인천시 디아스포라유산과 관계자는 "인천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운영할 예정"이라며 "센터가 다시 문을 연 이후 소지역 센터 등에 관한 논의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변민철기자 bmc0502@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