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사설] 수도권 시차 출퇴근제 도입, 망설일 이유가 없다

입력 2024-03-21 19:50 수정 2024-03-21 19:55

부평역.jpg
최근 시차 출퇴근제를 통해 직장들의 출퇴근 시간이 단축된다는 보고서가 제시됐다. 사진은 출근시간 바쁘게 이동하는 시민들. /경인일보DB
 

많은 직장인들이 출퇴근으로 도로에 시간을 버린다. 특히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의 경우 이에 허비하는 시간이 낭비이자 고통이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포함 대도시권 기업에서 시차출퇴근제 30%를 달성하면 경기 남부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출퇴근시간이 월 8.2시간 줄어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의 '당신의 출근 시간만 바꿔도 교통문제가 해결됩니다'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시차출퇴근제는 말 그대로 기업 내, 또는 기업 간 출퇴근 시간을 달리해 불필요한 교통체증을 없애자는 게 핵심이다.

보고서를 보면, 수도권에서 시차출근제 30%를 달성할 경우 도로용량을 초과하는 도로의 42.1%가 사라져 하루 출퇴근 시간이 평균 9.4분 줄어든다. 특히 경기 남부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하루 22.4분, 월 8.2시간이 줄어 하루 근무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도로 혼잡 완화로 차량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연간 1천805t 감소해 약 148억원의 탄소배출 비용이 절감된다. 온실가스 흡수 측면에서는 연간 30년생 소나무 1억9천80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적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이를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하루 약 27억원이 줄며 연간 1조3천382억원 효과가 기대된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예비타당성 조사 당시 연간 편익이 1천37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매년 서울~양평 고속도로급 도로 13개를 건설하는 것과 같다는 설명이다. 경기연구원은 직장인의 10%가 1시간 일찍 출근하고 직장인의 20%가 1시간 늦게 출근하는 시차 출퇴근제도 30% 달성을 제안했다. 절감된 예산이 도로·교통 인프라 확충 등에 사용된다면, 출퇴근길은 더욱 가까워 질 수도 있는 셈이다.

다만, 우리나라 유연근무제도 이용률이 지난해 16%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시차 출퇴근제 참여율 30% 달성은 쉽지 않은 목표다. 하지만 경기연구원이 제시한 만큼 효과를 낼 수 있다면 '시차 출퇴근제 의무화'를 추진해서라도 경기도민의 삶에 여유를 주고, 환경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공기관에서 우선 도입하고 100명 이상 사업체까지 단계별로 확대하면 참여율을 33.5%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도 나왔다. 유연근무제는 세계적 추세이기도 하다. 망설일 이유가 없다. 경기도의 정책반영을 기대해 본다.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