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사설] 인천시 교통행정에 복장 터진 강화군민

입력 2024-07-04 19:18 수정 2024-07-04 19:20

배차간격_변경된_강화~신촌_3000번_버스.jpg
1일 오전 인천시 강화군 강화터미널에 도착한 3000번 버스로 승객들이 탑승하고 있다. 강화터미널에서 신촌역까지 10여분 간격으로 출발했던 3000번 버스는 이날부터 배차간격이 40여분으로 늘어났다. 2024.7.1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시의 미숙한 교통행정으로 강화군민들이 재앙에 가까운 불편을 겪고 있다. 인천시가 강화터미널에서 신촌까지 운행하는 직행 좌석버스의 3000번 노선을 분리하면서 배차간격이 기존의 10분에서 40분으로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강화군 주민들은 지난 1일부터 인천시와 강화군 등 관계기관을 찾아다니며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3000번 버스 배차 간격이 10분대에서 40분대로 늘어난 것은 노선 분리로 인한 것이다. 기존 노선에 투입된 23대의 버스를 강화터미널을 출발하는 3000번 8대와 김포 월곶 공영주차장에서 출발하는 3000-1번 15대로 나누어 운행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노선 분리 운영 계획은 대광위(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와 인천시·경기도·김포시 간의 협의 결과로, 지난해 3월부터 시작하여 1년 이상 검토해온 사안이다.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는 점은 노선분리로 운행차량이 8대로 줄면 배차간격이 크게 늘어날 것을 예측했으면서도 인천시가 노선분리에 합의하고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았다는 점이다.

3000번 버스는 강화군과 서울을 연결하는 유일한 대중교통수단이다. 연간 강화군민 23만명이 이용하는 이 버스는 강화군민들에게는 '서울가는 버스'로 불리며 강화대교 준공 이후 50년간 운행돼왔다. 교통행정은 이동권과 접근성이 취약한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하는 데, 오히려 불편을 크게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배차간격 증가로 인한 논란이 확산되자 인천시가 응급처방으로 내놓은 대책은 노선 조정과 정류장 축소안이다. 3000번의 서울시 운행 구간 13개 정류장을 8개로 줄이고 김포시 구간의 24개 정류장은 2개로 축소하는 것과 종점을 신촌에서 당산역으로 변경하여 급행화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강화군 주민의 빠른 서울 접근은 가능하겠지만 배차 간격이 늘어남으로 인한 불편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는 없다.



이번 강화도 시외버스 노선 변경에서 드러난 문제는 인천시의 원칙 없는 교통행정이다. 강화지역은 강화대교와 초지대교로 육지부와 연결되지만 대중교통의 오지로 분류된다. 수도권 각 지역마다 GTX를 비롯한 광역교통망 확충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강화군은 제외돼 있다. 인천시는 주민들이 겪고 있는 불편을 해소하는 응급조치와 함께 배차 간격을 줄이는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