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부족·진료 차질 최소화 방침
4일·9일 위험기관 중심으로 배치 |
연휴를 앞두고 의료대란으로 인해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우려되는 가운데 정부가 4일부터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를 진료제한 응급실에 긴급 배치한다고 밝혔다. 2일 오전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병원 응급실이 구급대원들과 환자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4.9.2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
아주대병원 등 지역의 거점이 되는 핵심 의료시설 마저 응급실 운영에 차질(
9월2일자 2면 보도=[경인 Pick] 경기도 응급의료 '최후의 보루'… 아주대병원 응급실의 '고군분투')을 빚으며 응급의료 위기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달 4일부터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 250여명을 진료 제한 응급실에 긴급 배치한다.
정부는 '응급실 붕괴'라는 일각의 지적에 반박하면서도, 인력 부족 등에 따른 진료 차질은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면 의료계는 정부가 위기를 애써 외면하고 있다면서, 비판을 이어갔다.
2일 보건복지부는 브리핑을 통해 응급실 운영이 일부 제한된 의료기관에 총 15명의 군의관을 이달 4일 배치하고, 9일부터 8차로 파견될 약 235명의 군의관과 공보의를 위험기관 중심으로 집중 배치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의료진 확충 계획을 밝히면서도, 전반적인 응급의료 역량을 볼 때 일각에서 제기하는 '응급실 붕괴' 상황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전체 409개의 응급실 중 99%인 406곳은 24시간 운영 중이고, 27곳(6.6%)은 병상을 축소해 운영 중이라고 덧붙였다. → 그래프 참조
일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는 전문의 사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개선되고 있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반면 의대교수 단체는 정부 발표와 달리 이미 많은 응급실은 정상적인 진료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의료붕괴의 책임자를 처벌하고 의대 증원을 중단하는 것이 사태 진정의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1일 현재 전국 57개 대학병원 응급실 중 분만이 안 되는 곳은 14개, 흉부대동맥 수술이 안 되는 곳은 16개, 영유아 장폐색 시술이 안 되는 곳은 24개, 영유아 내시경이 안 되는 곳은 46개 대학병원"이라며 "정부 발표와 다르게 이미 많은 응급실은 정상적인 진료를 못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