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영흥화력 2030년 조기 폐쇄 수정… 인천시 '무탄소 연료 전환' 공약 변경

조경욱
조경욱 기자 imjay@kyeongin.com
입력 2024-09-03 20:57 수정 2024-09-04 14:18

'암모니아 혼소·수소 전소' 도입
LNG 이상의 탄소저감효과 목표
이달중 조정 심의… 11월 마무리
"정부 기조 맞춰… 정의로운 전환"


006.jpg
3일 오전 인천시 옹진군 영흥면에서 마을 주민 뒤로 영흥화력발전소가 보이고 있다. 인천시는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의 2030년 조기폐쇄(LNG 전환) 공약을 암모니아 혼소 및 수소 전소 방식의 '영흥석탄화력 발전소 무탄소 연료전환'으로 변경 추진하기로 했다. 2024.9.3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인천시가 영흥석탄화력발전소 1·2호기에 대한 2030년 조기폐쇄(LNG 전환) 대신 암모니아 혼소(혼합연소)와 수소 전소 방식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공약을 수정한다.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영흥화력발전소 석탄 발전 조기 폐쇄' 공약을 '영흥석탄화력발전소 무탄소 연료전환'으로 변경·추진한다. 인천시는 이달 중 공약조정 자체 심의 과정을 거쳐 11월 공약 변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 위치한 영흥화력발전소(1~6호기·5천80㎿)는 수도권 전력공급의 20%를 담당하는 국내 최대 규모 석탄화력발전소다. 인천에서 굴뚝자동측정기기(TMS)로 측정되는 전체 먼지(연간 247t)의 51.8%(128t)가 영흥화력발전소에서 나온다. 영흥화력발전소의 연간 탄소배출량은 3천225만t으로 인천시 전체 배출량의 49%를 차지한다.



이에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영흥화력발전소의 조기폐쇄를 주장해왔다. 인천시는 이 같은 의견을 받아들여 영흥화력 1·2호기(각 800㎿)를 오는 2030년까지 LNG 발전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정부의 제9차 전력기본수급계획(2020~2034)에는 1·2호 LNG 전환 시점이 2034년으로 명시됐고 제10차 전기본(2022~2036)과 제11차 전기본(2024~2036)에서도 이 시점은 변경이 없는 상태다.

또 2021년 시작한 영흥화력 1·2호기 환경설비개선사업(2천432억원)과 저탄장옥내화사업(3천200억원) 등이 지연되고 있다. 1·2호기의 내구연한(30년) 도달 시기(2034년)가 오기도 전에 가동 중단이 2년 넘게 장기화하면서 매몰비용도 커진 상황이다. 제11차 전기본 초안에서 오는 2038년까지 계획한 신규 LNG 발전소 건설 물량이 2.5GW에 그쳐 정부의 영흥화력발전소 조기폐쇄 불가 방침에 힘을 싣는다.

인천시는 이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영흥화력발전소를 무탄소 발전으로 단계별 전환하기로 전략을 수정했다. 2030년 LNG 조기 전환이 어려워진 영흥화력 1·2기는 2035년부터 LNG가 아닌 수소 전소(100%)로 전환한다. 그 대신 2028년부터 영흥화력 5·6호기(각 870㎿)를 암모니아 혼소(20%)로 발전하고, 2030년에는 3·4호기(각 870㎿)까지 확대한다. 3·4호기와 5·6호기는 각각 2039년, 2045~2050년부터 수소 전소로 전환해 탄소배출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영흥화력 5·6호기와 3·4호기가 순차적으로 암모니아 혼소 전환될 때 2030년 예상 탄소 감축량은 연간 438만t이다. 이는 1·2호기를 LNG로 전환했을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어 2035년 1·2호기의 수소 전소 전환 시 영흥화력 1~3호기 분량(1천452만t)의 탄소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친환경 연료 전환 방식이 폐쇄나 이전보다 일자리 감소 및 지역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더 적다"며 "무탄소를 추구하면서 지역이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영흥화력의 '정의로운 전환'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