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참성단] '철밥통' 걷어차는 MZ 공직자

윤인수
윤인수 논설실장 isyoon@kyeongin.com
입력 2024-09-04 20:00 수정 2024-09-04 20:17

2024090501000062000006621

공직을 '철밥통'이라 부른지 꽤 오래됐다. 중국 국영기업체 직원을 일컫는 '톄판완(鐵飯碗·철밥그릇)'에서 유래했다는데, 우리 공직에도 찰떡 같은 은어다. 공직자는 본인의 독직, 비리 아니면 해고될 염려가 없다. 국가가 망할리도, 세금이 마를리도 없어서다. 1997년 IMF 위기 때 민간의 밥그릇이 죄다 요절나도 철밥통은 끄떡 없었다. 대신 무자격 철밥통에겐 국민의 분노가 폭발한다. '철밥통'은 선망과 경멸 사이에 걸쳐있다.

저연차 MZ 공직자들이 철밥통을 걷어차고 있단다. 최근 국회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사표를 던진 10년 차 이하 경찰관이 2022년 155명에서 지난해 301명으로 배로 늘었다. 10년 차 이하 의원면직 소방관도 2022년 98명에서 지난해 125명으로 증가했다. 교총도 3일 지난해 10년 차 미만 교사 퇴직자가 576명으로 5년 내 최고치라고 발표했다. 한결 같이 격무에 낮은 처우를 원인으로 꼽았다.

전국공무원노조 산하 2030청년위원회, 즉 MZ노조원들이 지난 6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집회를 열고 철밥통 부수기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들은 "재직 5년 미만 청년 공무원 퇴직자가 지난해 1만3천500명을 넘었다"며 임금 인상을 촉구했다. "감당하는 업무에 비해 월급은 너무 초라하다"며 "철밥통에 밥이 없다"고 목청을 높였다.

시선에 따라 논란이 분분할 테다. 병장 월급이 200만원을 돌파한 마당에 저연차 공직자들의 저임금 구조는 시대착오일 수 있다.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려 목숨을 거는 소방관, 경찰관, 군인들의 박봉에 국민의 양심은 늘 민망했다. 반면에 전세대 백수시대에 철밥통을 걷어차는 MZ들에게 혀를 차는 여론도 있을 테다. 공권력이 권위를 잃으면서 공직이 조롱과 모욕의 배설구로 전락한 세태가 원인일 수도 있고, 공직을 그저 직업의 하나로 여기는 MZ의 사고방식 때문일 수도 있다.



MZ 공직자들의 퇴직 러시는 구체제와 신세대간의 사회·경제·문화적 태도와 철학이 충돌한 결과로 보인다. '열정페이'를 요구하는 구체제에 '조용한 퇴직'으로 맞서는 신세대다. 공직의 사명과 명예로 박봉을 견디던 시대는 저무는 중인데, 하물며 박봉을 견딜 사명과 명예는 정치 언어로 누더기가 됐다. 공직이 무너지면 나라와 민생이 흔들린다. 철밥통을 걷어차고 부수다니,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윤인수 주필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