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해양쓰레기로 몸살 앓는 한강하구… “과거 대량 매립·투기 가능성”

정선아
정선아 기자 sun@kyeongin.com
입력 2024-10-23 17:42 수정 2024-10-23 18:20

인천 강화군 앞바다 해저에 쌓인 해양쓰레기

분석 결과, 풍화된 작은 비닐·마대 섬유 발견

“쓰레기 쌓인 장소 찾기 위해 정밀조사 필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지난 2022년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에서 채취한 해양쓰레기의 모습이다. 왼쪽부터 작은 비닐 조각, 오래된 포장재 비닐, 마대 섬유 조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지난 2022년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에서 채취한 해양쓰레기의 모습이다. 왼쪽부터 작은 비닐 조각, 오래된 포장재 비닐, 마대 섬유 조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한강 하구인 인천 강화군 앞바다 밑에 비닐 쓰레기가 담긴 마대(마 섬유로 짠 자루)가 대량으로 쌓여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대강 중 유일하게 하굿둑이 없는 한강 하구는 한강, 임진강 등을 통해 떠내려온 온갖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이다.

23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원준 박사는 지난 2022년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에서 어민들의 새우잡이 그물로 채취한 해양 쓰레기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인천시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열린 ‘한강하구 쓰레기 대책 마련 토론회’에 참석한 심 박사는 “조사 결과 바다 표면에는 스티로폼, 플라스틱 조각이 주로 발견됐으나, 깊은 바닷속인 중층·저층에는 발견되는 쓰레기 중 비닐 등 포장재가 98%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지난 2022년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 바다에서 어민들의 새우잡이 그물을 이용해 채취한 해양쓰레기의 모습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지난 2022년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 바다에서 어민들의 새우잡이 그물을 이용해 채취한 해양쓰레기의 모습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특히 심 박사는 바다에서 흔히 보이지 않는 마대가 대규모로 발견된 사실에 주목했다. 비닐 쓰레기는 버려진 지 오래된 듯 크기가 작았고, 마대도 풍화돼 섬유 조각 형태였다.

심 박사는 “해안가로 밀려오거나 해수면에 떠다녀 눈에 잘 띄는 스티로폼, 플라스틱보다 더 많은 양의 비닐 쓰레기가 인천 연안을 떠돌고 있다”며 “강화군 연안처럼 오래된 비닐과 마대 조각이 압도적인 양으로 발견되는 것은 특이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과거에 폐기물처리시설에 쌓인 비닐 쓰레기가 대량으로 유실됐거나 누군가 이런 쓰레기를 불법 매립·투기한 것으로 강하게 의심된다”며 “비닐 쓰레기가 쌓여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를 찾기 위해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인하대학교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인천녹색연합 등 5개 시민·환경단체는 지난 7월 업무협약을 맺고 인천 연안, 하천, 특정 도서를 중심으로 해양 쓰레기 양과 종류 등을 조사하고 있다.

23일 인천시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열린 ‘한강하구 쓰레기 대책 마련 토론회’에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원준 박사가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에서 조사한 해양쓰레기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10.23 /정선아기자 sun@kyoengin.com

23일 인천시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열린 ‘한강하구 쓰레기 대책 마련 토론회’에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원준 박사가 인천 강화군 선원면 더리미 포구 인근에서 조사한 해양쓰레기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10.23 /정선아기자 sun@kyoengin.com

우승범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장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조사한 강화군 인근을 포함해 한강하구 전역에 대한 관측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해양 쓰레기의 발생 원인과 이동 경로 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선 전문성을 지닌 이들과 연구를 위한 재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장정구 기후·생명정책연구원 대표는 “한강 하구의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은 흔히 알려져 있지만 그 규모와 종류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발생 원인까지 추정할 수 있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해양 쓰레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이를 위한 정부와 인천시의 지원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