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냉전의 흉터 철책선 걷어내자·2] 가시울타리에 포위된 거대감옥

박건준·왕정식 박건준·왕정식 기자 발행일 2006-01-05 제0면

2. 김포시, 삼면 둘러싸인 '요새'

6901

 

[냉전의 흉터 철책선 걷어내자]

3면이 바다인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김포시는 3면이 철책으로 둘러싸인 '요새'다. 고천면 김포대교에서 시작된 철책은 한강을 따라 양촌면~하성면~월곶면~대곶면 서해까지 역유자(∩)형으로 장장 51.4㎞에 걸쳐 설치돼 있다.
이 철책은 지난 60년대 말 이른바 '김신조 무장간첩 침투사건' 이후에 설치됐다.

당시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해 설치된 이 철책은 그러나 지금은 엉뚱하게도 김포 시민을 철의 장막속에 가두고 있다.
김포 1동 주민 김우승씨는 “차를 타고 아파트를 빠져 나오면 바로 철책에 둘러싸인 한강변과 마주하게 된다”면서 “매번 철조망을 볼때마다 감옥에 살고 있는 듯한 답답한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실제 강변도로인 고촌면 존호리~하승면 전류리간 352번 지방도에서 바라본 한강철책은 반대편 자유로에서 바라본 한강 철책과는 또다른 분위기를 연출했다.

왕복 10차선 자유로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철조망이 전방 DMZ를 연상시킨다면 차창을 열고 손을 내밀어 바로 닿을 정도로 가깝게 철조망이 설치된 김포시 지역은 마치 거대한 감옥을 떠올리게 했다.
이렇다보니 철책 철거를 요구하는 김포 시민들의 목소리는 그 어느 지역보다 크게 울리고 있다.
특히 20만명의 인구 가운데 7만여명이 모여 사는 김포시 최대 중심지인 김포1동과 사우동은 한강 철책과 바로 접해 있는 실정으로 이들 지역의 주민들은 지난 2000년부터 한강철책의 철거를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이들은 고촌면에서 일산대교가 건설중인 걸포동까지 12㎞구간의 경우 지난 70년대 이후 북한 무장간첩의 침투가 전혀 없었는데다 첨단 감시장비 등의 도입으로 더 이상 철책을 유지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군사 전문가들도 현재 건설중인 일산대교에서 효율적인 감시가 이뤄진다면 걸포동에서 김포대교까지 이르는 12㎞ 구간의 철책은 무의미하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 구간이 시민들에게 개방되면 김포시민들은 8만4천여평의 한강 시민공원을 얻게 된다. 김포시의 삶의 질 향상이란 측면에서도 철책은 철거돼야 마땅한 것이다.
조한승(68) 김포문화원장은 “철책선 철거는 김포시민들의 큰 바람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하루빨리 철거돼 체육·문화시설 등 편의시설을 갖춘 생태시민공원으로 꾸며져 서울처럼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돌려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하철(55) 김포시이장단협의회장도 “철책선을 볼 때마다 섬뜩한 느낌이 들고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안타깝다”며 “남북관계가 분단을 넘어 통일을 준비하는 시대인 만큼 지역 이미지에 악영향이 되지 않도록 철책선을 걷어내고 한강 둔치를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