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정화기능 저하 영흥화력 1·2호기 출력제약조치에 "한시적 중단을"

공승배 공승배 기자 발행일 2018-11-08 제8면

환경단체 "100% 가동 중지" 주장
오염물질배출기준 강화 이전 준공
탈질·탈황·전기집진기 성능 지적
발전소 "불가능… 성능 향상" 입장

미세먼지 문제로 사상 첫 화력발전소 상한 제약 조치가 이뤄진 7일, 영흥화력발전 1·2호기는 최대 출력의 80%까지만 가동됐다.

환경단체는 1·2호기 오염 저감 시설의 성능 저하를 지적하며 출력 제약 조치가 아닌 한시적 중단을 주장하고 있다.

7일 오후 2시께 찾은 영흥화력발전소. 정문 도착 약 1㎞ 전부터 화력발전소 모든 굴뚝에서 내뿜는 수증기 연기가 보였다. 모든 발전기가 가동 중인 듯했다.

신원 확인을 거쳐 정문을 통과한 뒤 차량으로 약 3분을 이동해 전체 제어실이 있는 3·4호 발전기에 도착했다. 발전기는 약 30m 높이의 전기생산 터빈과 100m 높이의 석탄화력 보일러, 전기 집진기, 탈황시설로 구성돼 있었다.



본관 영흥발전본부 내부 환경감시시스템 화면에는 1~6호기의 발전 출력이 나타났는데, 최대 출력이 800㎿급인 1·2호기의 출력은 각각 639㎿, 640㎿로 표시됐다.

상한 제약 조치대로 출력의 80%만 가동됐다. 최대 출력이 870㎿급인 3~6호기도 이날 오후에는 806~824㎿ 수준으로 가동되고 있었다.

영흥화력발전소의 모든 발전기에는 각각 탈질설비와 탈황설비, 전기집진기 등 3가지 오염물질 저감 시설이 있다. 배출물질 중 오염물질로 분류되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먼지를 걸러내기 위함이다.

그 중에서도 1·2호기는 오염물질 배출기준이 강화되기 이전인 2004년에 준공돼 저감 시설 성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 이날 영흥화력발전소에 확인한 결과, 1·2호기의 질소산화물 제거율은 85%인 반면 타 시설의 제거율은 모두 90%가 넘는다. 황산화물 제거율 역시 1·2호기는 91% 수준이지만, 타 시설은 97% 이상이다.

이를 근거로 환경단체는 1·2호기의 일시적 가동 중단을 주장하고 있다. 예비 전력 사용이 가능한 상황에서 미세먼지 주의보가 내려진 날에 한해서라도 가동을 중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발전시설 6기 중 1·2호기에서 나오는 초미세먼지가 5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며 "20% 출력 제한이 아니라 한시적으로 100% 가동을 중단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발전소 측은 가동 중단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영흥화력발전소 관계자는 "최대 출력에서 시설을 완전히 멈추는 데에만 5시간 이상이 소요되고, 다시 출력을 높이는 데에는 하루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며 "그 때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비용을 고려하면 쉽게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는 2021년까지 1·2호기의 오염물질 저감 시설 성능을 3~6호기 수준으로 향상시키겠다"고 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