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단독] 인천가족공원 안치된 무연고자 '참전유공자'였다

김희연
김희연 기자 khy@kyeongin.com
입력 2023-07-19 20:10 수정 2023-07-19 20:51

민관 노력으로 조국의 품에 돌아온 '영웅'

501.jpg
사진은 인천시 부평구 인천가족공원을 찾은 가족 단위 시민들이 성묘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나라를 위해 헌신한 분들의 유해인데 무의미하게 사라지는 일은 없어야죠."


인천가족공원에 안치됐다가 무연고로 처리돼 사라질 뻔한 한국전쟁 등 참전유공자들의 유해가 민관의 노력으로 소식이 끊겼던 가족 품으로 돌아가게 됐다. 봉안시설 관리비가 밀린 유해를 조사해 유공자임을 밝혀낸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보훈지청은 인천가족공원 봉안시설 관리비가 계속해서 밀린 유해 1천여구의 명단 등 정보를 분석해 이 가운데 48명의 유공자를 최근 발굴한 것으로 19일 경인일보 취재 결과 확인됐다.

이번에 발굴된 유공자들은 대부분 참전유공자다. 국가유공자는 유가족에게 보훈급여가 승계되기 때문에 정부가 가족을 따로 등록해 관리한다. 이와 달리 참전유공자는 본인이 사망하면 제적되는데, 해당 정보는 지자체만 열람 가능해서 생활고 등 각종 사정으로 가족의 연락이 끊겨도 인천보훈지청이나 인천가족공원 차원에서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한다. 


관리비 미납 망실 위기 1천여구 대상
인천보훈지청, 명단 분석 48명 발굴

무연고자 유해를 대상으로 전국에서 처음 시도된 유공자 발굴 작업은 국가유공자 후손 등이 모인 단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찾는 사람들'이 인천보훈지청에 의뢰해 지난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 단체의 공동대표이자 독립유공자 강제희 지사의 손자인 강영환(45)씨가 지난해 초 우연히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무연고 국가유공자를 모실 때 필요한 영정사진을 만들어줄 분을 찾는다"는 글을 본 것이 계기가 됐다.



봉안시설 비용을 내지 않고 가족과도 연락이 닿지 않는 유해는 개장해서 산이나 강, 바다 등에 뿌려진다. 강씨는 문득 인천에도 무연고로 분류된 유공자의 유해가 있을 것 같아 인천가족공원 측의 협조를 받아 명단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시민단체 의뢰 5월부터 본격 시작
"가족없는 1명 국립묘지 이장 검토"

 

500.jpg
사진은 인천시 부평구 인천가족공원을 찾은 가족 단위 시민들이 성묘하고 있는 모습. /경인일보DB


인천보훈지청 관계자는 "최근 무연고 유해 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공자들의 경우 사망한 지 10년 가까이 된 분들"이라며 "당시에는 관계기관 간 유공자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공유되지 않아 이런 일이 생긴 것으로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공자 1명의 유해는 가족이 없는 것으로 확인돼 그대로 두면 산골(화장한 유해를 산이나 바다에 뿌림) 처리될 수 있어서 국립묘지로 이장하는 절차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강영환씨는 "인천보훈지청이 적극적으로 유공자들의 유가족을 찾기로 해 다행이고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유공자 유해를 어떻게 모실지 유가족들과 논의하고, 더 나아가 인천에 유공자들의 유해가 제대로 관리되도록 관련 조례 제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