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대입 교육만 강화" 직업계고 통폐합, 불안한 학부모

목은수
목은수 기자 wood@kyeongin.com
입력 2024-05-08 20:54 수정 2024-05-08 21:05

道교육청, 2030년까지 108 → 70곳
"교육 품질 저하될 것" 우려 목소리
"지원 강화 바람직" 전문가 신중론

0016.jpg
8일 오전 수원시 팔달구 수원공업고등학교 후문에 공무원합격률 전국 1위, 경기도기능경기대회 수상 등 학교 우수실적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4.5.8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경기도교육청의 직업계고 통폐합 정책이 현실화되면서 일선 학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2월 도교육청은 '직업계고 미래교육 재구조화' 계획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직업계고 108개교를 70개교로 통폐합하겠다고 발표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에 발맞춰 직업계고를 정비하겠다는 취지다.

도교육청은 본격적인 학교·학과 통폐합 사업 진행을 위해 각 시군교육지원청에 직업계고 현황 자료(학교·학과명·입학정원 충원율·취업률·인가학급수와 운영 학급수 등)를 요청한 상태다. 또한 교육부가 지원하는 학과개편사업(직업계고 학과 재구조화 지원사업) 희망 학교도 받고 있다.

실제 수원시 팔달구의 수원공업고등학교는 학과 통폐합을 위한 학부모들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고 있다. 학교는 전기융합제어과(2학급)와 전자통신과(2학급)를 통폐합해 1개 학과(2학급)로 바꾸고, 융합소프트웨어과(1학급)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운영위원회에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그러나 이같은 재구조화 사업이 일선 학교에 실제 도입되자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학과 통폐합으로 동문이 사라지고 교육의 질 역시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수원공고 융합소프트웨어과 2학년생 학부모 A씨는 "폐과 수순을 밟게 되면 학교에 남아있는 학생 수와 전공 과목 선생님도 줄어들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며 "취업 연계가 중요한 특성화고는 동문이 중요한데, 학과 자체도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걱정이 크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직업계고 통폐합 정책을 두고 직업교육의 규모가 줄어들 수 있고 대입 중심의 교육 비중이 높아질 것이라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병욱 충남대학교 직업·진로교육정책연구소장은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해선 직업계교에 기숙사 등의 시설을 지원하고 취업처와의 연계를 강화해 학생들을 끌어당기는 게 바람직하다"며 "통폐합은 직업교육의 규모 자체를 줄이는 절차라 대학 입학 중심의 고교과정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은 "재구조화 사업은 사실상 돌봄 기능만 담당하고 있는 직업계교를 줄여 직업교육의 경쟁력을 강화하자는 취지"라며 "학과 개편은 학생과 교직원 등 교육공동체의 과반이 넘는 동의를 받아야 가능하고, 학교 구조조정 역시 충원율과 취업률 등의 지표를 토대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