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광주 퇴촌면 주민들 "서울~양평고속도로 중심지 관통 피해 불가피"

이종우
이종우 기자 ljw@kyeongin.com
입력 2023-07-12 15:10 수정 2023-07-17 14:48

'서울~양평고속도로' 논란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광주시 구간관련 퇴촌면 주민들이 "강상면 종점안으로 진행될 경우 지역을 관통하며 피해만 줄 뿐 아무런 혜택이 없는 노선"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만약 원안이 아닌 강상면 종점안으로 강행할 경우 퇴촌 중심지 관통대신 터널을 건설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13일 광주시 퇴촌면 주민들에 따르면 퇴촌면은 1970년대 초부터 상수원보호구역과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묶인 '청정지역'이다. 주민들은 50년간 규제로 인한 많은 불이익을 받으면서도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자긍심으로 감내하며 살아왔다.

70년대부터 그린벨트 '청정지역'
규제 불이익에도 자긍심으로 감내
"중심지 관통 아닌 터널 건설을"
분진·소음피해 등 고려해 3안 요구 

이 같은 상황에서 서울~양평고속도로 관통지역 주민들은 "주변 도시가 발전할수록 규제에 대한 아픔은 상대적으로 커져만 간다"며 "정부가 위로와 보상은 못해 줄망정 서울~양평고속도로로 퇴촌면 관통은 큰 상처를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퇴촌농협 안진근(71) 조합장은 "서울~양평고속도로는 서울에서 두물머리·동해안(강원도) 가는 차량들로 정체가 심해져 계획됐다"며 "그런데 양평군 강상면 종점안은 광주 퇴촌면을 관통하는 거대한 구조물로 경관을 해치고 분진·소음·공해 피해만 유발, 주민들에게는 아무런 혜택이 없는 노선안"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안인 강상면 종점안으로 진행될 경우 퇴촌 중심지를 관통하지 말고 터널로 대체해 달라고 요구했다.

퇴촌면 이장협의회 여인원(71) 협의회장도 "남종터널에서 강하IC까지 터널을 건설하면 주민들의 피해가 전혀 없다"며 "강상면에서 화도~양평고속도로를 경유해 서울~양평고속도로까지 3분 정도 소요돼 이용에도 큰 불편이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국가사업을 반대할 이유는 없지만 퇴촌면을 관통하는 계획대신 터널로 변경할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서울~양평고속도로를 둘러싼 논란이 격화되면서 퇴촌지역 관통과 관련해 목소리를 낼 수 없는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지는 격'이 됐다"며 "왜 퇴촌면 주민들은 일방적인 피해를 감수해야 하냐"고 울분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민들 이야기를 듣고 있다"며 "서울~양평고속도로 총연장 27㎞ 중 13.5㎞가 광주시 구간으로 국토교통부 타당성 조사 검토 자료에 의하면 대안 노선의 경우 국지도 88호선 광주 구간의 교통개선 효과가 예비타당성조사안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안 노선이 퇴촌 남종면 주민의 도심 접근성 향상과 교통정체 해소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에서도 서울~양평고속도로와 연계하는 국도 45호선 확장과 국지도 88호선 개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퇴촌면 주민들의 의견을 참고해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노선이 결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광주/이종우기자 ljw@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