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야구강국 한국' 뿌리 내린다

신창윤 신창윤 기자 발행일 2008-08-25 제0면

제2회 WBC 내년3월 열려… 2006년 4강·올림픽金 기세 이어야

'이제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이다'.

베이징올림픽에서 아마추어 세계 최강 쿠바를 비롯해 미국과 일본 등 강력한 라이벌을 잇따라 제압한 한국 야구가 내년 3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을 향해 다시 뛴다.

대표팀은 국제대회에서 가장 권위있는 올림픽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내면서 한국 야구 위상을 한 단계 끌어 올렸다. 특히 단기전에서 야구 선진국이라는 미국과 일본보다 훨씬 앞선 노하우를 자랑하며 국제대회에서 절대 밀리지 않는다는 점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2006년 처음으로 개최된 야구 최강국 결정전 WBC에서 4강에 오르며 신화를 창조한 대표팀은 그해 말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대만과 일본 사회인대표팀에 패하며 부진했지만 지난해 아시아 4개국 프로 챔피언 결정전 코나미컵 아시아시리즈에서 국내 챔프 SK 와이번스가 예선에서 일본 우승팀 주니치 드래곤스를 꺾으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이후 12월 베이징올림픽 최종 예선에서 일본에 패했지만 대만을 꺾으면서 절반의 성공을 거뒀고 마침내 올림픽 정상에 오르면서 WBC때의 명성을 확고히 인식시켰다.

지금의 성과를 계속 이어가고 국제대회에서 미국·일본 등과 동등한 대접을 받기 위해선 7개월 앞으로 다가온 제2회 WBC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

역대 최고 선수들로 구성됐다는 WBC에서 대표팀은 준결승전에서 딱 한번 일본에 패했을 뿐 6전 전승을 달렸고 4강이라는 큰 수확물과 함께 자신감을 얻었다.

이번 올림픽을 통해서도 마찬가지다. 류현진(21·한화)·김광현(20·SK) 두 좌완 영건이 향후 10년간 대표팀 마운드를 책임질 선수로 자리매김했고 이대호(26·롯데)·고영민(24)·김현수(20·이상 두산)·정근우(26·SK) 등 각 구단의 주축 선수들도 자신의 기량을 맘껏 발휘했다. 이제 주무기관인 한국야구위원회(KBO)와 프로 8개 구단은 아시아시리즈, 아시안게임, WBC 등 국제대회가 거의 해마다 열리는 만큼 대표팀이 계속 좋은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선수들을 관리하고 지원해야 한다.

올림픽 금메달로 얻은 야구 강국의 명성을 꾸준히 이어가려면 내년 3월 WBC에서 다시한번 '고추장 야구'의 매운 맛을 보여 실력이 절대 일회성이 아님을 증명해야 할 것이다.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