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통 큰 기사-도시재생의 길] 도시재생 '이제 막 첫 발'

김대현·배재흥·손성배 김대현·배재흥·손성배 기자 발행일 2021-06-28 제2면

늙고 병든 원도심 뿌리까지 뽑은 '재개발'

2021062701010010444.jpg
부천의 원도심 소사는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도시재생 사업을 끝낸 곳이다. 잠시 정차할 곳도 없는 좁은 골목과 전깃줄, 우후죽순 들어선 다가구 빌라, 뒤엉킨 주거지와 상업지. 신도시에 익숙한 사람들에겐 복잡한 공간이지만 골목마다 오랜 이야기를 지니고 있는 원도심의 활기는 신도시의 셈법과 달랐다. 사진은 부천 소사본동 일원. /기획취재팀
 

2021062601001056700051102




지구 지정후 수년간 중단·해제 '부작용'
우후죽순 빌라 신축… 주거환경은 악화


원도심이 병들었다. 초기 도시발전에 중심 역할을 한 원도심은 생기와 활력을 신도시(신시가지)에 모두 빼앗겼다. 시름시름 앓는 원도심을 되살리는 길이 도시재생이다.

병든 원도심은 '철거형 재개발'로 옛 모습을 전부 잃어버리고 새로 태어났다. 전면 철거형 재개발만이 도시 정비의 유일한 대안처럼 여겨졌다.



뉴타운 사업은 원도심에 더 큰 생채기를 냈다. 2006년 7월 시행한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근거로 우후죽순 지정했다가 해제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널뛰고 주민 찬반 갈등을 남겼다.

경기도는 2007~2009년 12개 시에 재정비촉진지구 23개를 지정했다가 2010~2015년 9개 시 15개 지구를 차례로 해제(실효)했다.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수년 동안 지구 내 개발 사업이 전면 중단돼 원도심 쇠락을 부추겼다. 지정 해제 이후엔 우후죽순 다가구주택(빌라)이 들어서 주거 환경이 더 악화됐다.

인천시는 5곳을 지정했다가 최근 동인천역 주변까지 4곳을 전면 해제한 데 이어 마지막 남은 주안 2·4동 지구도 재개발 14개소 중 9개소를 해제해 사실상 사업 폐기 수순을 밟고 있다. 일반 도시정비 사업도 구역 지정부터 준공까지 평균 8년 이상 걸린다.

재개발의 기원은 19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 도심의 세운상가 일대가 최초의 재개발지구였다.

재개발의 역사는 50년을 훌쩍 넘긴 반면, 도시재생은 이제 막 첫발을 뗐다.  

 

경기도 100명 중 32명꼴 '쇠퇴지역' 거주
인천시 153개 읍·면·동 가운데 97곳 달해
 

 


재개발과 뉴타운 일변도로 원도심 개발이 흘러간 사이 경기·인천의 쇠퇴지역은 꾸준히 늘었다. → 그래프 참조

쇠퇴지역은 ▲인구 ▲사업체가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감소한 지역 ▲전체 건축물 중 준공된 뒤 20년 이상 지난 건축물이 차지하는 '노후건축물 비율' 등 3가지 지표 중 2가지 이상 조건에 부합한 지역으로 분류한다.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에 따르면 전국의 읍·면·동(행정동) 3천512개 중 쇠퇴지역(2019년 12월 최신 통계 기준)은 2천404개(68.5%)다.

이 중 경기도는 565개 읍·면·동 가운데 231개가 쇠퇴지역 기준에 부합한다. 쇠퇴도(전체 읍·면·동 중 쇠퇴지역 비율)는 40.9%다.

쇠퇴지역은 비쇠퇴지역과 노후주택 비율, 문화·복지시설의 수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경기도의 경우 쇠퇴지역의 노후주택비율이 54.8%로 비쇠퇴지역(24.2%)보다 2.3배 높고, 문화·복지시설은 비쇠퇴지역의 80% 수준이다. 경기도민 1천314만5천명 중 424만3천명이 쇠퇴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도민 100명 중 32명이 쇠퇴지역에 거주지를 두고 있는 셈이다.

인천시는 153개 읍·면·동 가운데 97개(쇠퇴도 63.4%)가 쇠퇴지역이다. 인천시 쇠퇴지역 거주 인구(시 전체 295만5천명 중 151만7천명) 비율은 51.3%다.

/기획취재팀

※기획취재팀

글 : 김대현차장, 배재흥, 손성배기자
사진 : 김금보, 김도우기자
편집 : 김동철차장, 장주석기자
그래픽 : 성옥희차장




# 키워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