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올린 잔혹사
국내 최초 공립동물원 '창경원'
일제, 공중 관람 위락시설 설립
'이윤 목적' 기업논리까지 결합
뿌리 박힌 문화… 변화 걸림돌
국내에 처음 문을 연 동물원인 창경원에 전시된 침팬치를 1970년대에 찍은 모습. 풀 한포기 없는 콘크리트 바닥에 나무 조형물만 엉성하게 붙어있다. /서울대공원(DB) 제공
풀 한 포기 없는 콘크리트 바닥 가운데 나무 조형물 하나가 덩그러니 있다. 장난감처럼 보이는 타이어가 조형물에 걸려 있지만, 침팬지는 무심히 땅바닥을 바라볼 뿐이다.
과천 서울대공원의 전신이자 국내에 처음 문을 연 공립동물원인 '창경원'에 전시됐던 침팬지(1970년대) 모습이다. 이곳의 동물들은 1980년대 들어 창경궁 복원 추진 정책에 따라 현재 서울대공원으로 거처를 옮겼다.
창경원의 역사를 이어받은 서울대공원 동물들의 현재 생활은 달라졌을까.
국내에 처음 문을 연 동물원인 창경원에 전시된 침팬치를 1970년대에 찍은 모습. 창경원을 찾은 시민들이 나무 조형물 위에 올라간 침팬지를 보며 웃고 있다. /서울대공원(DB) 제공 |
지난 3일 찾은 서울대공원 '동양관' 내 원숭이과 동물의 우리는 마치 40여년 전 사진 속 배경을 빼다 박은 듯 변한 게 없어 보였다. 원숭이들은 콘크리트 바닥과 나무 몇 그루 듬성듬성 자라난 공간 안에 전시돼 있었고 쇠창살에 갇힌 우리에서 무기력한 표정을 지었다.
국내 동물원이 전시 일변도를 걷는 것은 창경원 역사와 연관 깊다. 1909년 일제는 전시·관람을 위한 위락시설 용도로 서울 창경궁 자리에 창경원을 세웠다. 당시 일제의 경성안내서는 "왕가의 오락을 겸하고 공중의 관람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동·식물원을 계획했다"고 설명했다. 창경궁의 이름을 '울타리를 쳐서 짐승과 나무를 키운다'는 뜻인 '원(苑)'자를 붙인 '창경원'으로 격하시킨 배경에서도 동물을 전시하려는 의도를 짐작할 수 있다.
지난 3일 오후 과천시 서울대공원 내 ‘동양관’에서 원숭이가 쇠창살을 붙잡고 매달려 밖을 응시하고 있다.2024.7.3./김지원기자 zone@kyeongin.com |
지난 21일 오전 과천시 서울대공원 내 ‘동양관’에서 만난 원숭이가 철창 밖을 응시하고 있다. 창경원의 전신인 이 동물원에서 원숭이과 동물들은 과거처럼 콘크리트 바닥 등 낡은 환경에 의지한 채 관람객을 맞고 있다. 2024.7.2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
→ 관련기사 (호랑이 뛰노는 숲, 전시 넘어 종 보전으로 '생태 실험' [시대착오 동물원, 존폐를 묻다·(2-2)])
/기획취재팀
※기획취재팀=조수현·김지원·목은수 기자(이상 사회부)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