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4·10 총선] 경기도 유권자 '70%의 선택' 남았다… 소중한 한표 '약속'

고건
고건 기자 gogosing@kyeongin.com
입력 2024-04-09 20:41 수정 2024-04-09 21:24

입법부 4년 미래 결정할 22대 총선
전국 최대 의석 '60석' 가진 경기도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소 3263곳
거대양당 심판론 유권자 손에 달려


1
4·10 총선 선택의 날이 밝았다. 전 국민의 관심이 선거에 집중되면서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고치인 31.28%를 기록했다. 이번 선택이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약속하기에 유권자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9일 저녁 서울 국회의사당이 민의를 대변할 제22대 국회의원을 기다리며 희망의 불빛을 밝히고 있다. 2024.4.9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경기도 유권자 70%의 선택이 남아 있다'. 앞으로 4년간 입법부 권력구조를 결정짓는 제22대 총선 본투표가 10일 진행된다.

경기지역 유권자의 29.54%가 이미 사전 투표로 선택을 마친 상태인데, 나머지 표심이 총선 결과의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전국 최대 의석(60석)을 가지고 있어, 총선 선거운동 기간 내내 여·야의 최대 격전지였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의 '정권심판론'이 탄력을 받을지, 국민의힘이 내세운 '거야 심판론'을 민심이 택할지가 경기도 유권자들 손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9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2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10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도내 3천263곳의 투표소에서 실시된다. 선거일 투표는 주민등록지를 기준으로 선거인별로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할 수 있다.



투표할 때는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모바일 신분증 포함)을 반드시 가지고 가야 한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명서로서 생년월일이 기재되고 사진이 포함돼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투표 시에는 비례대표 및 지역구 투표용지마다 하나의 정당 또는 한 명의 후보자에게 기표하여야 하며 기표를 잘못하거나 투표용지를 훼손하는 등 유권자 본인의 실수로는 투표용지를 다시 교부받을 수 없다.

이번 총선은 출범 2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다. 남은 3년의 임기동안 윤 정부의 국정 과제 수행에 탄력을 받을지, 제동이 걸릴지가 결정된다. 여야 모두 선거기간 각각 예기치 못한 변수들이 터지며 총선 정국이 엎치락뒤치락을 반복했다.

여야가 본격적인 총선 모드에 돌입한 지난해 말 가장 먼저 민심이 요동친 사건은 민주당의 공천 파동인 '비명횡사'다. 민주당이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 공천을 강조한 반면 대다수의 지역구에서 친문 혹은 현역 의원들이 친이재명계로 주자가 교체되며 반발한 후보들이 탈당하는 등 내부 갈등이 커졌다.

공천이 완료된 지난달 터진 가장 큰 변수는 대통령실발 악재다. 이종섭 전 호주대사의 '도피 출국' 논란과 '회칼테러' 발언의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에 대한 대통령실의 늑장 대응은 물론, 윤 대통령의 대파 발언까지 여당의 악재가 연이어 터지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하락세로 전환됐다.

반면 선거 막판에는 양문석·김준혁·공영운 등 야권 후보들의 부동산 및 막말 등 후보 리스크 논란이 커지며 결과를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한편 이번 선거는 부정선거 의혹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수검표 절차가 도입돼 평상시 총선보다 개표 결과가 약 2시간 이상 늦게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선관위는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자 개표 결과의 경우 투표 다음 날인 11일 새벽 2시 전후 그리고 비례대표 당선자는 같은 날 오전 중에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개표 관리에만 약 7만6천여명의 인력이 투입될 예정이다. 선관위는 홈페이지를 통해 선거일 투표 진행 상황을 1시간 단위로 실시간 공개한다. → 그래픽 참조

2024041001000124500011352

 

→ 관련기사 ("한 표라도 더" 무박 선거운동 불사… "지지해달라" 종료 직전까지 잰걸음)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