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4·10 총선] 투표소로 '발 도장'… 민주주의 '큰 도장'

김성호
김성호 기자 ksh96@kyeongin.com
입력 2024-04-09 20:46 수정 2024-04-09 21:21

인천 738개 투표소서 오후 6시까지
14개 선거구중 8곳이 기호 1·2번뿐
변화 위해선 주권자의 권리 행사를

 

총선 D-1 국회의사당
4·10 총선 선택의 날이 밝았다. 전 국민의 관심이 선거에 집중되면서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고치인 31.28%를 기록했다. 이번 선택이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약속하기에 유권자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9일 저녁 서울 국회의사당이 민의를 대변할 제22대 국회의원을 기다리며 희망의 불빛을 밝히고 있다. 2024.4.9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선택의 날이 밝았다. 제22대 국회에서 4년 동안 활동할 국회의원을 뽑는 투표가 10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인천지역 14개 선거구 738개 투표소 등 전국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지난해 12월12일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시작된 120일 동안의 여정이 이번 투표와 개표로 비로소 마무리된다. 지난 5일과 6일 인천을 포함한 전국에서 사전투표가 진행됐다. 인천에서는 77만6천408명인 30.06% 유권자가 이미 투표를 마쳤다. 아직 투표하지 않은 유권자가 180만여명(69.94%)으로 더 많다.

우리 헌법이 명시한 민주주의 기본 절차가 작동하는 날이 바로 선거일이다. 대한민국 헌법에는 입법권이 '국회'에 있고, 국회는 '국회의원'으로 구성한다고 쓰여 있다. 국회의원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해 선출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투표에 할애된 시간은 하루도 안 되는 단 12시간으로 짧지만, 입법권이 속한 국회의 앞으로 4년 운영 방향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투표 결과가 국회뿐 아니라 행정부와 사법부 등 국정 전반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점은 새삼 강조할 필요조차 없다.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은 9일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모두가 꿈꾸는 대한민국을 여러분의 투표로 만들어달라. 투표소로 향하는 발걸음이 민주주의를 위한 큰 걸음이 될 것"이라며 "정당 정책과 후보자 공약의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한 번 더 살펴보신 후, 한 분도 빠짐없이 투표소에 가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올해도 일꾼을 뽑기 위한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국회는 국회의원 선거구를 선거일 1년 전까지 확정해야 했지만 결정을 미루며 늑장을 부렸다. 여야 할 것 없이 공천과정에서 크고 작은 잡음이 발생했다. 흑색선전도 선거구 곳곳에서 벌어졌다. 인천 등 전국 40여개 사전투표소에서는 사전투표제도를 불신하는 한 '유튜버'가 미리 설치한 불법 카메라가 발견되는 일도 있었다.

이번 선거는 과거 총선과 비교해 출마 후보가 유달리 적었다. 인천 14개 선거구 가운데 8곳이 1번·2번 이외의 선택지가 없다. 마땅한 후보가 없어 투표소에 갈지 말지를 망설이는 유권자를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투표하지 않는 행위가 정치적 의사표현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투표장으로 나와 꼭 투표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당부한다. 무효표를 만들거나 아예 투표하지 않는 행위는 아무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하대 이기우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한국의 정치 상황이 엄중하고 또 대한민국 정치가 낙후되어 있다. 유권자는 '투표'로 정치적 표현을 해줘야 하고 그것이 정치에 반영된다"면서 "현행 선거제도에서는 투표 거부가 정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망설여지더라도 조금이라도 마음이 가는 곳에 표를 줘야 한다. 투표는 주권자의 권리"라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인천 여야, 경합지역 4곳 압축… 바닥 민심 살피며 막판까지 '중도표 줍줍')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