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우리 아이, 경기도에서 키워도 될까요?·(3)]육아환경 천차만별

공지영·이원근 공지영·이원근 기자 발행일 2019-04-10 제1면

출산율 높은 곳은 개별 지원 적고 도농복합형 도시는 '인프라 부족'

지역마다 혜택 달라 부모들 불만
"道 중심, 균형잡힌 지원책 필요"
2019040801000798200037551




경기도 육아환경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출산율이 높으면 개별 지원이 적고 출산율이 낮으면 인프라가 부족한, 그야말로 '진퇴양난'이다.

김모(32)씨는 요즘 용인에 신혼집을 꾸린 걸 후회하고 있다. 다음 주 출산을 앞두고 있지만 임신부터 출산, 육아 등과 관련된 용인시의 혜택이 유달리 적어서다.

출산장려금도 용인시는 셋째 아이부터 지원하고, 양육비 지원도 없다.



김 씨는 "바로 옆 동네인 수원시만 해도 둘째부터 지원비도 주고 출산, 육아 등 혜택도 있다는데 솔직히 같은 세금 내고 왜 사는 곳에 따라 차별을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 어느 정도는 형평성을 맞춰야 한다"고 토로했다.

동두천시에서 아이를 키우고 있는 박모(33)씨는 아이가 아플 때마다 가슴이 두근거린다. 인근에 소아과 같은 일반 병원들도 부족한데, 밤에 열이라도 오르면 달려갈 수 있는 종합병원 응급실도 없다.

아이가 아플 때마다 1시간 이상을 달려 다른 지자체로 이동해야 한다.

박씨는 "동두천 지역이 아이를 많이 낳지 않아서인지 첫째부터 출산장려금(50만원)을 지급하지만 우리는 돈보다 아이를 안전하게 키울 수 있는 기본 인프라가 절실하다. 돈만 준다고 아이를 많이 낳지 않는다. 왜 동두천에서 아이를 안 키우려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31개 시군마다 제각각 성격이 다른 경기도는 육아 환경도 천차만별이다. 심지어 한 도시 내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심해 갈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특히 수원, 용인 등 대도시들은 출산율이 높다는 이유로 개별 지원금이 상대적으로 적고, 도농복합형 도시들은 지원금만 주고 어린이집·종합병원 등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는다. 그 어디에도 만족할 만한 육아환경이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경기도 부모들은 '차별'에 민감하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상당수 부모들이 지역마다 다른 혜택에 불만이 높았다. 각각의 특성에 맞추면서도 경기도가 중심이 된 균형잡힌 육아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공지영·이원근기자 lwg33@kyeongin.com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