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가기

[우리 아이, 경기도에서 키워도 될까요?·(4·끝)]부모들이 바라는 육아정책

공지영·이원근 공지영·이원근 기자 발행일 2019-04-11 제3면

공공성 강화등 피부 와 닿는 해법 찾아야

 

서울 국공립어린이집 적극적 확충
1621곳 비해 인구 많은 道 797곳뿐
'육아 환경' 다양성 반영 목소리도

2019040901000808500038131




경기도 부모들은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각 지자체 등이 육아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현장으로 달려가 실태를 파악하고 현실성 있는 대안을 모색할 것을 요구한다.

특히 설문조사 중 '어떤 곳에서 아이를 키우고 싶은가'를 묻는 질문에 '서울'을 대답한 부모들이 많았다.

서울도 불과 5~6년 전에는 경기도와 다를 바 없었지만, 2014년부터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등 보육 공공성 강화 사업을 공격적으로 진행해 경기도와 상당한 격차를 벌였다.



먼저 전체 국공립어린이집 수만 해도 서울은 1천621개지만 경기도는 797개에 불과하다. 경기도 유아 인구수가 서울의 2배에 달하는데, 국공립어린이집 수는 절반 가까이 적은 셈이다.

서울시는 2014년부터 국공립 어린이집 '+1000' 정책을 통해 국공립 전환을 유도했고 그 결과 2016년 302개소, 2017년 272개소, 2018년 143개소를 늘렸다.

올해에도 68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00개소를 추가 설립한다.

반면 경기도는 2016년 32개소, 2017년 71개소 늘리는데 그쳤고 그나마 지난해 145개소를 늘려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는 116억 원을 투입해 62개소를 확충한다.

서울과 경기도의 육아정책 온도 차는 대조적인 결과를 낳았다. 지난해 12월 기준, 도내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는 전체의 11.8%에 불과하지만, 서울시는 35.1%가 국공립에 다니고 있다.

서울은 공립유치원 이외에도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서울형 어린이집 등 공공성이 보장된 보육기관으로 대체하기 쉽다.

도 보육정책과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각 시·군에서 수시로 수요를 파악해 국공립 어린이집 설립 요청이 오면 최대한 빠르게 보건복지부에 심사를 올리고 있다. 올해도 추경을 통해 22개소를 더 짓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경기도 육아환경의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천식, 알레르기 반응이 심해 집에서 아이를 키우는 진모(32)씨는 "급하게 볼일이 있어 아이를 잠깐 맡기려 해도 예약하기 쉽지 않고 차를 타고 가서 맡겨야 하는 경우도 많다"며 "방문미술, 키즈카페 등 사설기관에도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주는 등 현실적인 대안을 고민하는 게 경기도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화성 봉담의 박모(36)씨도 "유치원·어린이집에 가서 어떻게 등·하원하는지 보고 불시에 기관을 찾아가 감사라도 해보면, 현장의 부모들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어떤 것을 원하는지 알 수 있다"며 "제발 부모들의 이야기를 듣고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만들어달라"고 주문했다.

/공지영·이원근기자 jyg@kyeongin.com

경인일보 육아교육 기획은 영상으로도 제작돼 경인일보 유튜브(https://www.youtube.com/user/kyeonginilbo)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육아교육 기획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다음 QR코드를 스캔해도 해당 영상으로 연결됩니다.

육아기획 QR코드




경인 WIDE

디지털스페셜

디지털 스페셜

동영상·데이터 시각화 중심의 색다른 뉴스

더 많은 경기·인천 소식이 궁금하다면?

SNS에서도 경인일보를 만나보세요